드립 커피
Drip coffee. 다만 영어권에서는 이 표현은 잘 안 쓴다. Drip brewed coffee 아니면 그냥 brewed coffe라고 한다.
개떡 같이 뽑은 것은 개드립커피라고 한다.
갈은 커피 원두에 뜨거운 물을 부어서 우려낸 커피. 수증기나 펌프를 이용해서 높은 압력으로 단시간에 뽑아내는 에스프레소와는 달리 2~3분에 걸쳐서 천천히 우려낸다. 종이나 고운 철망, 천으로 만든 필터로 커피 알갱이가 섞여들어오지 못하도록 분리하기 때문에 필터드 커피(filtered coffee)라고도 하며,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을 뜻할 때에는 드립 브루잉(drip brewing)이라고 한다. 커피 메이커와 같은 기계를 쓰지 않고 직접 손기술로 물을 부어 만드는 커피를 우리는 보통 핸드드립 커피(hand-drip coffee)라고 하는데, 영어권에서는 '위에서 붓는다'는 뜻을 가진 포어오버 커피(pour-over coffee)라고 한다. 원래는 독일에서 시작했다가 일본으로 건너간 다음 일본이 대체로 그러하듯이 장인정신 넘쳐나는 고도화의 과정을 거쳐나갔다. 온갖 기법과 도구가 발달한 만큼 드립 커피의 본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커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들어봤을 브랜드인 하리오, 칼리타와 같은 커피 도구들도 일본 브랜드다. 다만 초고급 라인에는 독일 브랜드들도 포진하고 있으며 드리퍼와 종이 필터를 이용한 드립 커피의 원조인 멜리타도 여전히 잘 나가고 있다. 지금도 일본 쪽은 드립 커피가 보편이다. 스타벅스를 위시한 에스프레소의 공세가 강력하지만 대부분의 킷사텐은 드립커피를 고집한다.
비싼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간편하게 커피를 뽑아낼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에 가장 널리 쓰이는 커피 추출법이라 할 수 있다. 에스프레소니 뭐니 하는 게 소개되지 않았던 시절 한국에서는 그냥 원두커피라고 불렀다. 물론 이것도 제대로 갖춰 놓으려면 이것저것 사야할 게 은근히 꽤 되긴 한다. 이 세상에 작정하고 돈지랄하자면 뭐는 안 그러나. 다만 가정에서 에스프레소를 마시고 싶다면 모카 포트라는 간편한 방법이 있긴 한데, 고압력 펌프로 뽑아내는 전문 기계에 비하면 아무래도 딸린다. 반면 드립 커피는 전문 커피점에서 사용하는 도구라도 해도 그라인더 정도를 제외한다면 가격 부담이 크지 않다. 도구가 무의미한 것은 아니지만 커피 그 자체와 바리스타의 드립 실력이 결과물을 더 많이 좌우한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티백. 아예 한 잔 단위로 티백 포장이 되어서 나오는 커피도 있고, 티백을 사서 커피를 담아 우려낼 수도 있다. 컵만 있으면 되니 가장 간단한 방법이다. 그냥 차 우리듯이 뜨거운 물에 티백을 담그는 방법도 있고, 컵 위에 걸쳐놓고 위로 물을 부어 진짜 드립 커피처럼 내려먹을 수 있는 방식도 인기를 끌고 있다. 다이소 같은 곳에 가면 커피 없이 컵 위에 걸치는 티백만도 판다.
프렌치 프레스를 쓰는 방법도 있다. 커피 전체를 물에 푹 잠기게 한 다음 필터로 커피 알갱이를 걸러내고 따르는 방법. 티백 다음으로 간편하다고 할 수 있다.
드립커피 하면 그래도 가장 널리 알려진 이미지는 병이나 컵 위에 종이 필터[1] 위에 갈은 커피를 놓고, 그 위로 뜨거운 물을 불어서 중력으로 커피가 아래로 떨어지게 하는 것. 이게 바로 드립(drip, 똑똑 떨어진다). 영어권에서는 'pour-over'라고 한다. 이걸 자동화한 게 커피메이커다. 에스프레소 머신이 유행하기 전까지 사무실에서 흔히 볼 수 있던 물건으로, 물론 아직도 많이 쓰이고 있다.
드립 커피가 발전한 일본에서 특히 발전한 방식으로는 사이펀 커피가 있다. 사이펀과는 다른 원리이며,[2] 영어권에서는 원래 진공흡입식 커피(vaccum coffee)라고 불렀지만 일본 쪽에서 하도 발달하다 보니까 요즘은 영어권에서도 그냥 siphon coffee로도 통한다. 추출할 때 직접 알코올 램프로 물을 끓여야 하고 물이 두 개의 용기 사이를 오가는 구조라서 도구의 구조도 보통 드립 커피보다는 조금 더 복잡하며 손이 많이 가는 반면, 드립 커피처럼 바리스타가 드립 과정을 조절하기도 쉽지 않다. 난이도는 높은데 맛과 향이 보통 드립 커피보다 뛰어나냐 하면 딱히 그렇지도 않다.[3] 커피의 향이나 맛 자체보다는 비주얼이 무척 신기하고 멋있어 보인다는 게 사이펀 커피의 가장 큰 특징이고, 그래서 허세 취급하는 사람들도 있다. 일본의 킷사텐 중에는 여전히 사이펀 방식을 고집하는 곳들도 상당수 있다.
제대로 드립 커피를 즐기고 싶다면 몇 가지 도구가 필요하다. 적어도 다음 도구들은 필요하다.
- 그라인더(핸드밀 또는 전동식 그라인더) : 커피를 분쇄하는 도구. 아예 원두를 살 때 분쇄를 해서 살 수도 있지만 그러면 커피의 맛과 향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들이 휘발되거나 산패되어 금방 맛과 향이 망가진다.
- 드리퍼 : 서버 위에 올려놓는 깔때기 모양의 도구로 여기에 커피 필터를 놓고 분쇄한 원두를 넣은 다음, 뜨거운 물을 부어서 커피를 추출한다.
- 서버 : 드리버를 받치면서 내려오는 커피를 받아주는 주전자.
- 드립포트 : 커피를 추출할 뜨거운 물을 부어줄 주전자. 보통 얇고 긴 S자 모양의 주둥이를 가지고 있어서 가는 물줄기가 일정하게 나오도록 해 준다. 전기주전자 기능을 겸하고 있는 제품도 있는데, 더 나아가 물의 온도를 정확하게 맞추어주는 기능을 가진 것도 있다.
- 필터 : 많이들 알고 있는 것은 종이 필터지만 융, 면으로 만든 필터도 있다.
- 계량스푼, 또는 계량컵
드리퍼와 서버는 세트로 파는 것도 많다. 여기에 커피 무게를 잴 수 있는 저울, 물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는 온도계까지 있으면 더 좋다. 이들 중 소모품은 커피 원두, 그리고 필터 정도다.
사실 이 중에서 돈이 많이 드는 것은 별로 없다. 비싼 것은 한도 없이 비싸지만 드리퍼와 서버, 드립포트는 다 합쳐서 10만 원 정도만 써도 충분히 좋은 커피를 내릴 수 있다.
드리퍼
필터와 커피를 올려놓는 용기로, 아래에 구멍이 나 있어서 위에 물을 부으면 커피와 필터를 타고 아래로 떨어진다. 밑에 컵, 주전자, 서버와 같은 것을 받쳐서 떨어지는 커피를 받아야 한다.
가장 널리 알려진 메이커로는 드립 커피의 원조격인 독일의 멜리타, 일본의 하리오, 칼리타와 같은 브랜드가 있으며 고노 역시 유명하다. 한국도 몇몇 제품이 나와 있으며 구멍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디셈버가 유명한 브랜드에 속한다. 그밖에도 대만에서 개발된, 그냥 두었을 때에는 밑에 막혀 있다가 컵 위에 올려놓으면 밑이 열려서 커피가 쏟아지는 식으로 프렌치 프레스와 비슷한 스타일로 커피를 만들 수 있는 클레버 드리퍼도 있으며, 드리퍼와 서버가 일체형으로 된 케멕스[4]라는 것도 있다.
그라인더
가장 돈이 많이 드는 것은 그라인더. 이건 진짜 맘 먹고 투자하는 것이 좋다. 그라인더 하나가 나머지 도구를 합친 것보다 비싸다고 생각하고 투자하는 게 좋다. 싸구려 그라인더는 분쇄한 알갱이의 크기가 고르지 않으며, 잔가루(미분)가 많이 생기고, 여기에 마찰열이 심해서 커피의 맛과 향을 변질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 '싸구려'의 기준이 높다. 일단 다른 도구처럼 5만 원 정도 써서는 결과물이 제대로 안 나온다. 손으로 돌려서 커피를 가는 핸드밀조차도 10만 원 이상은 써야 그냥저냥 쓸만한 놈이 나오고, 20만 원 이상은 각오해야 한다. 핸드밀 쪽에서 최고로 쳐주는 독일의 코만단테는 수동인데도 제품에 따라 30만 원, 50만 원도 넘어간다.
전동식 그라인더를 쓰겠다면 20만 원 이상은 기본으로 쓸 각오는 해야 한다. 다른 도구는 흔하게 쓰이는 하리오나 칼리타 정도로도 충분하지만 그라인더는 그 정도로는 부족하며[5], 아예 자타공인 최고 제품에 아낌없이 돈을 쓸 형편이 아니라면 최대한 가성비가 좋은 제품을 찾아야 하므로 인터넷에 올라와 있는 각종 후기들을 잘 읽어보고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다른 도구는 가동부가 없기 때문에 몇 만원 정도 이상이라면 모양은 대체로 잘 잡혀 있고, 제품 자체의 품질보다는 사용자의 기술이 커피맛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원두 분쇄를 위한 가동부가 있는 그라인더는 다르다. 아무리 뛰어난 기술자라고 해도 그라인더가 나쁘면 답이 없다. 초보자라면 '내가 일단 기술이 좋아야지 처음부터 무슨 장비빨이야' 하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그라인더는 초보자라고 하더라도 좋은 것을 장만하는 게 좋다. 부담된다면 10만원 언저리에서 최대한 가성비 좋은 핸드밀을 찾아보고 드립 실력이 충분히 발전하면 아마도 알아서 확실한 제품을 찾게 될 것이다.
드립 포트
커피 위에 물을 붓기 위한 주전자. 일반 주전자와 달리 S자 모양의 길고 가는 주둥이가 달려 있는데 이를 영어로는 goose-neck(거위 목)이라고 하고 일본어로는 ほそぐち(細口, 가는 입)라고 부른다. 물줄기를 가늘고 일정하게 내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드립 커피를 낼 때 주전자를 빙빙 돌려가면서 물을 끼얹어주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물줄기를 골고루, 그리고 원하는 대로 컨트롤하기 위해서는 전용 드립 포트가 필요하다. 주전자로 물을 끓인 다음 드립 포트에 부어 적절한 온도가 되었을 때 커피에 천천히 부어준다. 온도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물에 담그는 온도계를 쓰기도 한다.
요즈음은 전기주전자와 드립 포트의 기능을 합친 제품도 나와 있으며, 고급 제품은 1도 단위로 물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값이 비쌀수록 온도가 정확하게 맞는다. 전기로 정확하게 1도 단위로 물 온도를 맞춰주는 제품을 찾다 보면 20만원대는 각오해야 한다. 또한 주둥이의 굵기, 길이, 모양에 따라 물줄기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바리스타들은 여러 가지 제품을 써 보고 자기에게 맞는 것을 주로 사용한다.
필터
커피를 내리는 과정에서 커피가루가 물과 함께 아래로 같이 떨어지지 않도록 막아준다. 또한 과한 오일이나 잡맛을 일으키는 일부 성분을 잡아주는 구실도 한다. 다양한 재질과 특성을 가진 필터가 있으며, 필터에 따라서도 커피의 맛은 차이를 나타낸다.
가장 많이 쓰이는 재질은 종이다. 커피는 통과시키면서 커피가루, 특히 미분은 확실히 잡아주므로 깔끔한 커피를 내릴 수 있고, 과한 커피 오일을 잡아주는 효과도 있다. 반면 이러한 장점을 단점으로도 볼 수 있는데, 커피의 향이나 맛을 일부 걸러낸다고 해석할 수도 있다. 한번 쓰고 나면 버려야 하므로 쓰레기가 많이 발생한다. 하얗게 표백한 것과, 표백하지 않아서 옅은 갈색을 띠는 것이 있는데, 표백하지 않은 것은 나무맛이 나기 때문에 린싱 과정으로 한 번 씻어내는 것이 좋다. 흰 필터도 다른 약품을 쓰는 게 아니라 과산화수소로 표백한 것이므로 안전하며, 바리스타에 따라서 린싱을 하는 게 좋은지에 관해서는 의견이 분분한다. 단 무표백 필터는 린싱이 필요하다는 게 일치된 의견. 면을 가공해서 종이 필터처럼 만든 것도 있으며[6] 필터에서 나오는 맛이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다.
스테인리스 필터도 많이 쓰이는 편이다. 스테인리스에 미세한 구멍을 뚫어 망으로 가공해서 드리퍼에 맞는 모양으로 만든다. 최고의 장점은 쓰레기를 만들지 않는다는 것. 커피를 내린 다음 커피가루를 버리고 잘 씻어서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단점은 아무리 구멍이 미세해도 종이 필터보다는 훨씬 성길 수밖에 없어서 미분이 빠져나올 여지가 있고 커피 오일도 거의 거르지 못하고 과하게 내려온다는 문제가 있다. 프렌치 프레스도 스테인리스 망이 필터 구실을 하는만큼 비슷한 장단점이 있다.
융필터도 마니아들이 있다. 주머니 모양으로 되어 있다. 잘 씻어서 여러 번 다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종이보다는 오일 성분을 덜 잡아내면서 미분은 잘 걸러주기 때문에 융드립을 최고로 치는 마니아들도 많다. 세척과 보관이 번거롭고 까다롭다는 게 가장 큰 단점이다. 종이 필터와 드리퍼를 사용하는 멜리타식 드립보다 더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드립 커피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밖에
물론 드립 커피 경험이 쌓이고 기술도 늘면 다른 도구들도 욕심이 생긴다. 이렇게 좀 더 장비 욕심을 부린다고 해도 에스프레소에 비하면 한참 저렴하긴 하다. 에스프레소 머신은 수십만 원짜리 저렴한 기계도 있지만 크레마가 제대로 나오는[7] 쓸만한 기계를 쓰려면 가정용이라고 해도 백만 단위는 써야하고, 천만 단위도 돈만 있으면 일도 아니다. 드립 커피는 그라인더를 제외하고는 전동 기계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에스프레소 머신도 그라인더는 필요하다.
각주
- ↑ 면으로 만든 필터도 있다. 이쪽이 좀 더 비싸다.
- ↑ 두 개의 용기 중 아랫쪽 용기에 물을, 위쪽 용기에는 커피를 담아 용기를 위아래로 결합한 다음 아래쪽 용기를 가열하여 기화된 물이 뒤쪽 용기로 밀려올라가는 것이 기본 원리이므로 차라리 모카 포트의 원리에 더 가깝다.
- ↑ 보통 드립 커피보다 원리 면에서 맛과 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보는 의견도 있다. 만드는 과정을 보면 프렌치 프레스 혹은 클레버 드리퍼와 별로 다르지 않다.
- ↑ 스타벅스 리저브에 가면 일반 드리퍼(포어오버)와 케멕스 중에 어떤 걸로 내릴지 선택할 수 있다.
- ↑ 하리오와 칼리타도 핸드밀이나 그라인더를 내놓고 있지만 별로 좋은 평가는 못 받고 있다.
- ↑ 우리나라의 지폐도 종이가 아니라 면을 펄프 가공해서 만든다.
- ↑ 싼 머신들은 바스켓을 듀얼 월로 만들어서 강제로 '가짜' 크레마, 속칭 뻥크레마를 만들어낸다. 덕후들 중에는 듀얼 월을 싱글 월로 개조하고 머신을 튜닝해서 싸구려 머신으로도 그럴싸한 진짜 크레마를 만들어 내기도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