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부도스와프

내위키
Dennis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2월 14일 (일) 02:12 판 (새 문서: Credit Default Swap. 줄여서 CDS라고 부른다. 쉽게 말해서 대출부도가 났을 때 그 위험을 다른 곳에 떠넘기는 일종의 위험 헤지 파생상...)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Credit Default Swap. 줄여서 CDS라고 부른다.

쉽게 말해서 대출부도가 났을 때 그 위험을 다른 곳에 떠넘기는 일종의 위험 헤지 파생상품. 부채스와프와 비슷한 용어처럼 보이지만 개념은 전혀 다르다. 부채스와프는 대출 거래를 한 사람들끼리 '쇼부'를 치는 거고, CDS는 금융상품의 일종이다.

예를 들어, A 은행이 B 기업에 100억을 연 3.5% 금리에 3년 만기로 대출했다고 가정해 보자. 그런데 혹시 B 기업이 부도가 나서 대출해 준 돈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 일어나면? A 은행은 100억을 날리게 된다. 이게 걱정되는 A 은행은 C 투자회사와 CDS 계약을 체결한다. 계약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C 투자회사는 A 은행이 발행한 100억 규모의 CDS를 매입한다.
  2. A 은행은 대출 만기 때까지 C 투자회사에 연 1억의 프리미엄을 지급한다. (100억과 비교하면 연 1%에 해당한다)
  3. 만약 신용사건, B 기업의 부도나 도산, 채무불이행과 같은 사태로 A 은행이 대출금을 회수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C 투자회사는 A 은행에 100억을 지급한다.

만약 신용사건이 발행하지 않았다면? 즉, B 기업이 A 은행에게 정상적으로 대출금을 갚았다면? A 은행은 C 투자회사에게 연 1억, 3년 동안 3억을 지급해야 한다. 즉 C 투자회사는 3억의 수익을 보고, A 은행은 B 기업이 연 3.5% 금리로 3년 동안 낸 이자인 10억 5천만 원 중에 3억을 C투자회사에게 프리미엄으로 지급하고 남은 7억 5천만 원이 대출 수익이 된다. 즉, 이 경우에는 C 투자회사가 이득을 보게 된다.

신용사건이 발생한다면? A 은행은 C 투자회사에게 약속한 100억을 받을 수 있다. C 투자회사는 망했어요. 즉, CDS는 대출 부도 위험에 대비한 일종의 보험이라 할 수 있다. 실제로 보험회사와 CDS 계약을 체결하는 경우도 많다.

이렇게 위험 회피를 위한 헤지 수단으로만 쓰이면 다행인데, 문제는 이게 투기 상품으로 변질되었다는 것이다. 위의 예에서 보면 CDS를 발행한 곳은 실제 대출을 발생시킨 A 은행이다. 그런데 이 대출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D 헤지펀드가 나타나면 문제가 달라진다. D 헤지펀드가 보기에 B 기업은 지금은 괜찮지만 잠재적인 부실을 안고 있어서 대출 만기 전에 문제가 터질 확률이 꽤 있다. 그러면 D 헤지펀드는 A 은행과 B 기업 사이의 대출 계약을 가지고 CDS를 만들어 시장에 내다판다. 그러면 B 기업의 부도 위험성이 별로 없다고 믿는 C 투자회사와 계약이 체결되고, B 기업의 신용사건 발생 여부에 따라서 누가 돈을 버는지 그리고 누가 망하는지 결정된다. 그야말로 B 기업이 망할 거냐 안 망할 거냐를 놓고 도박을 하는 것이다.

영화 <빅쇼트>에서 주인공들이 떼돈을 번 방법이 바로 CDS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