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터스포츠/포인트
절대 다수의 모터스포츠 챔피언십 시리즈는 시즌 종합 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포인트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즉 개별 경기의 순위에 따라 포인트를 주고 이 포인트를 합쳐서 종합 순위를 결정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는 레이스라면 결승 순위, 랠리와 같은 타임 트라이얼이라면 종합 순위에 따라서 포인트를 수여하고, 시즌 동안 거둔 총 포인트를 합산해서 최종 시리즈 순위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여기에 좀 더 흥미를 가미하기 위해서 폴 포지션, 레이스 중 패스티스트 랩에 추가 포인트를 부여하기도 하고, WRC에서는 파워 스테이지라는 SS를 정해서 이 구간의 순위만으로 따로 포인트를 주기도 한다.
최근 세계적인 시리즈에서 많이 쓰이는 포인트 부여 체계는 현재 F1에서 채용하고 있는 시스템으로, 1위부터 10위까지 차례대로 25-18-15-12-10-8-6-4-2-1 포인트를 준다.
포인트 제도를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라면 시즌이 일찍 김이 새는 것을 막기 위함이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시즌이 10 경기로 구성된 챔피언십이 있다고 가정하자. 만약 레이스 우승 횟수로 종합 우승을 결정하는 시스템이라면[1], 어떤 선수가 초반에 6경기 연속 우승을 하면 시즌 챔피언이 확정된다. 이 선수는 남은 4 경기는 아예 안 나오거나 대충대충 해도 상관 없다. 이러면 시즌 후반부는 김이 확 샌다. 반면 각 레이스마다 1위부터 차례대로 10-6-4-3-2-1 포인트를 주는 제도라면[2] 초반 6 경기에서 연속 우승을 한 드라이버 A는 60 포인트를 얻는다. 만약 드라이버 B가 계속 2위를 해욌다면 36 포인트를 받으므로 둘 사이는 24 포인트 차이다. 큰 차이지만 이후 경기에서 드라이버 A가 차량 트러블이나 사고와 같은 이유로 두 경기 포인트를 못 따고 B가 그 경기들에서 우승을 하면 포인트 격차는 4 포인트로 확 준다. 따라서 시즌이 조기에 김이 새버리는 문제를 상당히 늦출 수 있다.
반면 포인트 제도의 가장 큰 맹점은 경기 우승을 한 번도 못 해도 챔피언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앞에서 예로 든 포인트 제도로 10 경기를 운영하는 챔피언십이 있다고 가정하자. 드라이버 A는 한 번은 우승하고 한 번은 리타이어 했고 드라이버 B는 계속 2위만 했다고 가정하면 A는 50 포인트, B는 60 포인트를 얻어서 B는 경기 우승을 한 번도 못했는데도 5번 우승한 A를 제치고 챔피언이 될 수 있다. 이는 극단적인 예지만 우승 횟수가 더 많은 선수가 챔피언이 못 되는 상황이 생길 때마다 포인트 제도애 관한 논란은 종종 벌어진다. 예를 들어 2008년F1 챔피언십에서는 루이스 해밀턴이 펠리페 마사를 제치고 챔피언에 등극했는데 레이스 우승 횟수는 마사보다 한 번 적다. 그때문에 상당한 논란을 불러왔고 버니 에클레스톤이 메달 시스템으로 바꾸자는 주장을 했지만 결국 FIA에서 받아들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