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YMK
컬러 인쇄에 쓰이는 기본 색상. CYMK는 각각 C(Cyan, 청록색), Y(Yellow, 노란색), M(Magenta, 자홍색), K(Key, 검은색)을 뜻한다.
미술시간에 배운 물감의 3원색은 빨간색, 노란색, 파란색이다. 이 세 가지를 적당하게 섞으면 어떤 색깔이든지 만들어낼 수 있다. 세 색깔을 모두 섞으면 검은색도 만들어낼 수 있다.[1] 그런데 인쇄에서 압도적으로 많이 쓰이는 색깔은 검은색이다. 대부분의 글자는 검은색으로 인쇄하기 때문이다. 검은색 잉크가 다른 색깔의 잉크보다는 값이 싸다. 그러니 세 가지 색깔의 물감을 섞어서 검은색을 만드는 것은 너무 낭비가 심하고 차라리 검은색을 따로 두는 게 훨씬 낫다. 또한 막상 3원색을 섞어서 검은색을 찍어보려고 하면 완전 시커멓게 나오지 않는다. 나중에 얘기하겠지만 인쇄에서는 물감이 완전히 섞이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CYMK에서 검은색을 뜻하는 글자가 B(Black)이 아니라 K(Key)인 이유는 인쇄에서 검은색이 가장 중요하고 많이 쓰이기 때문이다. K를 Black의 끝 글자라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 B는 많은 사람들이 Blue(파란색)로 알고 있으므로 K로 쓴 것이라는 논리다.
그렇다면 검은색은 그렇고, 나머지색은 왜 물감의 3원색이 아닌 다른 색을 쓰는지가 궁금해지는데, 이 색은 사실 하얀색에서 빛의 3원색에 해당하는 빨강, 파랑, 녹색을 빼서 나온 색깔이다. 즉 하얀색 - 빨간색(R) = 청록색(C), 하얀색 - 녹색(G) = 자홍색(M), 하얀색 - 파란색(B) = 노란색(Y), 이런 원리다. 표현할 수 있는 색깔의 범위는 CYMK가 RGB보다 좁은데 이는 컬러 모델의 문제가 아니라 인쇄 자체의 한계에서 온다.
그래도 여전히, 왜 물감의 3원색이 아닌 저런 복잡한 방식을 써서 하나? 싶을 텐데, 물감의 3원색은 물감을 섞어서 쓸 때 사용한다. 컬러 인쇄는 물감을 섞는 게 아니다. 컬러를 CYMK로 분리한 다음 각 색깔로 한 번씩, 총 네 번을 종이에 아주 촘촘하게 점을 찍듯이 찍는다. 그래서 컬러 인쇄를 흔히 4도 인쇄라고도 한다. 촘촘하게 점을 찍듯이 인쇄하는 것을 망점 인쇄라고 하는데, 이들 색깔의 잉크가 직접 섞여서 새로운 색깔을 만드는 게 아니라 아주 촘촘하게 찍한 각 색깔의 점끼리 빛의 간섭을 일으켜서 우리 눈에는 여러 가지 다양한 색깔들로 보이는 것이다. CYMK 각각의 점 크기를 얼마나 크게 하느냐, 또한 망점의 각도를 어떻게 주느냐로 색깔을 조절한다.
따라서 컬러 인쇄를 할 때에는 분판이 필수다. 요즘은 전자출판의 시대니, 인디자인이나 쿼크익스프레스 같은 프로그램으로 책이나 유인물 작업을 했다고 가정해 보자. 마지막 단계에서는 분판된 PDF로 만들어서 인쇄소에 보내야 한다. 예를 들어 컬러 사진을 넣었다면 분판 단계에서 이 사진이 CYMK 4개 기본 색깔로 색분해가된다. 따라서 각각 CYMK에 해당되는 네 개의 PDF가 만들어지고, 인쇄소에서는 각각의 PDF를 가지고 오프셋인쇄기에 걸 원판을 만든 다음, 종이에 차례대로 찍어낸다. 즉, CYMK 색깔을 각각 한 번씩, 총 네 번 같은 종이에 찍어야 한 장의 컬러 인쇄물이 만들어진다.
모니터 화면은 빛의 3원색인 RGB 컬러 모델을 쓴다. RGB는 섞으면 점점 밝아져서 결국 흰색이 되는 가산혼합 방식이고, CYMK는 섞으면 점점 어두워져서 결국 검은색이 되는 감산혼합 방식이다. 이러한 차이 때문에 화면에 보이는 사진을 그냥 인쇄하면 화면보다 어둡게 나온다. 이 때문에 컬러 인쇄를 할 때에는 본격적으로 우다다다... 찍기 전에 컬러 교정을 본다. 시험 삼아서 한 장 뽑아본 다음에 색감이 원하던 대로 나왔는지, 어떤 부분을 어떻게 보정하면 좋을지를 확인하고 반영한다. 노련한 출판 디자이너나 인쇄 기술자는 이러한 차이를 잘 알고 잘 보정함으로써 높은 품질의 컬러 인쇄 결과를 뽑아낸다. 소프트웨어로도 둘 사이를 어느 정도 보정할 수 있다. 포토샵과 같은 전문 디자인 프로그램은 이미지를 RGB 모드로 할지 CYMK 모드로 할지를 선택할 수 있는데 인쇄용으로 쓸 때에는 당연히 CYMK 모드로 해 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