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트 와인

내위키
Dennis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2월 24일 (월) 08:42 판 (문자열 찾아 바꾸기 - "게뷔르츠트라미네르" 문자열을 "게뷔르츠트라미너" 문자열로)
샤르도네 와인과 모듬 안주 플레이트.

선명한 붉은색 계통의 레드 와인과 대비되는, 색깔이 없거나 아주 옅은 와인. 옅은 선홍색을 띠는 와인은 로제 와인으로 따로 분류한다.

화이트 와인이지만 흰색 와인은 없고, 색깔은 투명에 가깝다. 노란색, 녹색 계통의 빛깔이 옅게 감도는 것이 보통이다. 다만 농축도가 높은 스위트 와인 중에는 선명한 노란빛을 띠는 것도 있고, 게뷔르츠트라미너처럼 포도 품종 자체의 특성 때문에 영롱한 노란빛을 띠는 것도 있고, 오래되면 철분 산화로 검붉은 색으로 변해가는 와인도 있다. 소테른 지역의 와인이 대표격. 혹시 와인 모르는 친구 집에서 이런 걸 발견했다면, '에이 썩었네.' 하고 들고 오자.

만드는 방법

적포도라고 해도 빠르게 과즙을 짜낸 다음 껍질을 넣지 않고 양조하면 화이트 와인을 만들 수 있다. 적포도청포도든 과육 자체는 반투명하니까. 예를 들어 샴페인에는 적포도피노 누와가 들어가며 대다수 스파클링 와인에 적포도가 들어간다. 일부에서는 레드 와인과 화이트 와인의 차이는 껍질을 넣냐 아니냐의 차이라고 하지만 보통 화이트 와인은 청포도로 담는다. 껍질을 벗겨서 담는다고 설명하는 곳들도 있지만 실제로 일일이 껍질을 벗길 수는 없는 노릇이다. 짤 때는 적포도든 청포도든 그대로 으깨어 즙을 내되, 껍질을 함께 넣고 양조할 것인지 아니면 과즙만으로 양조할 것인지에 따라 레드냐 화이트냐가 갈린다. 일부만 넣거나 양조 과정에서 중간에 껍질을 걸러내면 로제 와인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적포도로 화이트 와인을 만드는 경우는 스파클링 와인을 제외하면 아주 드물다.

보통은 깔끔하고 신선한 향미를 위해서 오크통 숙성을 거치지 않지만 샤르도네 와인 중에는 오크통 숙성을 거치는 것도 있다. 프랑스 부르고뉴샤르도네가 그 대표격. 다른 화이트 와인과는 아주 다른, 기름진 때깔과 오크향의 깊이가 샤르도네 특유의 복숭아스러운 향미와 착 달라붙은 화이트 와인이 나온다.

코냑이나 아르마냑 같은 포도 브랜디도 주로 화이트 와인을 증류해서 만든다. 흔히 착각하는 것 중에 브랜디의 색깔이 붉은 기가 도는 갈색이니까 적포도로 만든 것이라는 생각인데, 브랜디 특유의 불그스름한 색깔은 오크통 숙성 과정에서 우러나오는 것이고 증류를 막 마쳤을 때에는 어떤 술이든 무색 투명하다.

건강

와인심장병을 비롯한 여러 가지 질병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는 하지만 이러한 효과를 내는 주요 성분인 타닌이나 항산화물질은 주로 적포도 껍질에서 나온다. 곧 레드 와인 얘기라는 것. 그래도 화이트 와인 역시 폴리페놀과 같은 성분들이 풍부하다고 한다. 장수하는 사람들 많기로 유명한 지중해 쪽 사람들은 화이트 와인을 더 좋아한다고 한다. 걔들은 담배도 좋아하는데? 그리스유럽에서 흡연 비율 1위다. 그럼 담배가 잠수의 비결이냐? 레드나 화이트나, 결국 퍼마시지 않고 조금만 즐기듯이 마시는 게 건강의 비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