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기름
들깨를 짜서 만든 기름. 참깨로 만든 참기름의 라이벌이기는 하지만 그 격차는 한참 차이가 나서, 한국의 가정이라면 참기름 없는 집은 별로 없어도 들기름은 없는 집도 많다. 원래 참깨가 들깨보다 비싸서 참기름이 더 비싸다는 게 상식아다. 그러나 참기름의 수요가 훨씬 많다 보니 중국이나 인도에서 값싼 참깨를 들여다가 대량생산으로 짜낸 참기름은 가격이 대폭 저렴한 반면, 들기름은 수요가 적어서 오히려 가격 역전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참기름처럼 들기름도 식용유라기보다는 향신료의 개념으로 많이 쓰인다. 하지만 간장에 밥 비벼먹고 싶을 정도로 식욕을 자극하는 참기름의 고소한 냄새와 비교한다면, 들기름은 들깨 특유의 풀냄새가 약간 끼어 있으며, 맛 역시도 들깨 특유의 가볍게 뜨는 듯한 맛이 있다. 전반적으로 참기름에 비하면 고소한 맛이 부족한 편이라 인기는 한참 떨어진다. 한국음식에 참깨와 들깨를 쓰는 비율만큼, 참기름과 들기름의 인기도 차이가 크다.
고소한 맛이 부족하다는 것은 역으로, 식용유로 쓸 범위는 넓어진다는 뜻이 된다. 옛날에는 전을 부치거나 할 때 들기름을 꽤 쓴 듯하다. 달걀 프라이를 부칠 때 들기름 쓰는 걸 좋아하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훨씬 저렴한 식용유가 많이 나오다 보니, 아무래도 향신료로 쓸 때보다는 많은 양을 써야 하는 들기름의 입지는 좁아질 수밖에. 참기름 대신 들기름을 쓰거나 참기름과 들기름을 적당히 혼합해서 쓰면 좋은 음식들도 많다. 나물, 구이김 같은 것들이 대표적인 예. 꼭 들기름을 써야 하는 대표적인 음식이라면 두부구이다. 둘의 구
기름의 질로는 참기름보다 더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기름도 좋지만 들기름은 오메가3 지방산의 비율이 더 높다. 하지만 그 때문에 산패 되기도 더 쉬워서 들기름은 냉장고에 보관하는 게 좋다. 이것도 들기름의 인기가 떨어지게 만드는 걸림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