짬뽕: 두 판 사이의 차이
(→종류) |
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파일:Jjampong.jpg|500px|섬네일|없음]] | [[파일:Jjampong.jpg|500px|섬네일|없음]] | ||
[[중화요리]]의 하나. 돼지뼈 국물을 베이스로 해서 [[고춧가루]]로 얼큰한 맛을 내고 [[오징어]], [[홍합]]을 주로 한 해산물, 가늘게 썬 [[돼지고기]], [[양배추]], [[양파]]를 비롯한 채소를 넣어 끓여낸 국물에 면을 말아서 뜨겁게 먹는다. 좀 더 시원한 맛을 주기 위해 콩나물을 넣는 곳도 있다. 대충 하는 집에서는 육수도 그냥 분말 풀어서 만들고, 재료도 미리 다 때려놓고 국물을 잔뜩 끓인 다음 면에 부어 낸다. 그런 중국집에 가면 들통에 미리 만들어 놓은 국물을 계속 데워놓고 있다. 제대로 하는 집은 재료를 [[웍]]에서 볶다가 돼지뼈 국물과 매운 양념을 넣어서 볶듯이 국물을 만들고 면 위에 붓는다. 이렇게 만든 짬뽕을 먹어보면 [[불맛]]이 오묘하게 살아 있다. <del>근데 요즘은 왠지 [[불맛]] 향신료를 쓰는 데도 있는 것 같다.</del> 국수를 빼고 밥을 넣으면 [[짬뽕밥]]이 된다. | [[중화요리]]의 하나. 돼지뼈 국물을 베이스로 해서 [[고춧가루]]로 얼큰한 맛을 내고 [[오징어]], [[홍합]]을 주로 한 해산물, 가늘게 썬 [[돼지고기]], [[양배추]], [[양파]]를 비롯한 채소를 넣어 끓여낸 국물에 면을 말아서 뜨겁게 먹는다. 좀 더 시원한 맛을 주기 위해 콩나물을 넣는 곳도 있다. 대충 하는 집에서는 육수도 그냥 분말 풀어서 만들고, 재료도 미리 다 때려놓고 국물을 잔뜩 끓인 다음 면에 부어 낸다. 그런 중국집에 가면 주방 안 들통에 미리 만들어 놓은 국물을 계속 데워놓고 있다. 제대로 하는 집은 재료를 [[웍]]에서 볶다가 돼지뼈 국물과 매운 양념을 넣어서 볶듯이 국물을 만들고 면 위에 붓는다. 이렇게 만든 짬뽕을 먹어보면 [[불맛]]이 오묘하게 살아 있다. <del>근데 요즘은 왠지 [[불맛]] 향신료를 쓰는 데도 있는 것 같다.</del> 국수를 빼고 밥을 넣으면 [[짬뽕밥]]이 된다. | ||
[[일본]]의 [[중화요리]]인 [[나가사키 짬뽕]]이 [[한국]]으로 건너와서 변형된 것인데, 정작 [[나가사키 짬뽕]]은 한국의 [[중화요리]]점에서 얼큰한 빨간 국물에게 이름을 내주고 대신 [[우동#한국의_중화요리|우동]]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그런데 이 [[우동]]이라는 말은 [[일본]]에서는 또 다르게 쓰이는지라, 한때는 짬뽕과 [[우동]]이 나란히 있는 게 보통이었지만 짬뽕이 거의 대세가 되면서 [[우동]]을 아에 메뉴에서 뺀 [[중국집]]도 많아졌다. 사실 재료의 질이 나쁠 때 매운맛으로 나쁜 잡맛을 가려버리는 효과가 있는데 [[우동]]은 그런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지라. [[우동]]이 메뉴에 있는 [[중국집]]이라면 재료는 적어도 평균 이상은 한다고 볼 수 있다. | [[일본]]의 [[중화요리]]인 [[나가사키 짬뽕]]이 [[한국]]으로 건너와서 변형된 것인데, 정작 [[나가사키 짬뽕]]은 한국의 [[중화요리]]점에서 얼큰한 빨간 국물에게 이름을 내주고 대신 [[우동#한국의_중화요리|우동]]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그런데 이 [[우동]]이라는 말은 [[일본]]에서는 또 다르게 쓰이는지라, 한때는 짬뽕과 [[우동]]이 나란히 있는 게 보통이었지만 짬뽕이 거의 대세가 되면서 [[우동]]을 아에 메뉴에서 뺀 [[중국집]]도 많아졌다. 사실 재료의 질이 나쁠 때 매운맛으로 나쁜 잡맛을 가려버리는 효과가 있는데 [[우동]]은 그런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지라. [[우동]]이 메뉴에 있는 [[중국집]]이라면 재료는 적어도 평균 이상은 한다고 볼 수 있다. |
2019년 12월 16일 (월) 22:43 판
중화요리의 하나. 돼지뼈 국물을 베이스로 해서 고춧가루로 얼큰한 맛을 내고 오징어, 홍합을 주로 한 해산물, 가늘게 썬 돼지고기, 양배추, 양파를 비롯한 채소를 넣어 끓여낸 국물에 면을 말아서 뜨겁게 먹는다. 좀 더 시원한 맛을 주기 위해 콩나물을 넣는 곳도 있다. 대충 하는 집에서는 육수도 그냥 분말 풀어서 만들고, 재료도 미리 다 때려놓고 국물을 잔뜩 끓인 다음 면에 부어 낸다. 그런 중국집에 가면 주방 안 들통에 미리 만들어 놓은 국물을 계속 데워놓고 있다. 제대로 하는 집은 재료를 웍에서 볶다가 돼지뼈 국물과 매운 양념을 넣어서 볶듯이 국물을 만들고 면 위에 붓는다. 이렇게 만든 짬뽕을 먹어보면 불맛이 오묘하게 살아 있다. 근데 요즘은 왠지 불맛 향신료를 쓰는 데도 있는 것 같다. 국수를 빼고 밥을 넣으면 짬뽕밥이 된다.
일본의 중화요리인 나가사키 짬뽕이 한국으로 건너와서 변형된 것인데, 정작 나가사키 짬뽕은 한국의 중화요리점에서 얼큰한 빨간 국물에게 이름을 내주고 대신 우동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그런데 이 우동이라는 말은 일본에서는 또 다르게 쓰이는지라, 한때는 짬뽕과 우동이 나란히 있는 게 보통이었지만 짬뽕이 거의 대세가 되면서 우동을 아에 메뉴에서 뺀 중국집도 많아졌다. 사실 재료의 질이 나쁠 때 매운맛으로 나쁜 잡맛을 가려버리는 효과가 있는데 우동은 그런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지라. 우동이 메뉴에 있는 중국집이라면 재료는 적어도 평균 이상은 한다고 볼 수 있다.
이것저것 섞은 것을 속된 말로 '짬뽕했다'고 말하기도 한다. 사실 짬뽕의 유래가 '한데 섞는다'는 뜻의 ちゃんぽん에서 온 것이다. 짬뽕이 고기와 해산물, 채소까지 이것저것 들어가는지라. 여러 가지 술을 섞어마시는 것도 짬뽕이라고 하는데, 일본에서도 그런 뜻으로 쓰인다.
종류
- 삼선짬뽕 : 짬뽕도 해산물이 들어가지만 기껏해 봐야 홍합이나 오징어 다리 정도다. 삼선짬뽕은 새우, 칼집낸 오징어 같은 해산물을 더 넣고 채소도 청경채와 같은 것들을 추가해서 좀더 호화롭게 만든 짬뽕이다. 삼선짜장의 자매품인 셈.
- 홍합짬뽕 : 보통 짬뽕에는 홍합이 들어가는데 홍합을 많이 써서 그릇에 수북하게 쌓이듯이 비주얼을 내는 짬뽕. 꽤 많은 중국집에서 하고 있다.
- 굴짬뽕 : 굴을 넣어서 시원한 맛을 강조한 짬뽕. 고춧가루를 넣지 않은 백짬뽕이다.
- 볶음짬뽕 : 국물을 자작하게 해서 볶음면으로 만든 것. 사천짜장이라고도 한다. 이 둘을 분리하자면 사천짜장은 주로 두반장으로 매운맛을 내는데, 어째 떡볶이 같은 맛이 좀 난다.
오징어짬뽕 : 이건 라면이잖아.간짬뽕 :이것도 라면이잖아!
짬뽕은 공통된 종류는 적은 편이고, 각 지방에 따라서 특화된 짬뽕이 많다. 꽃게짬뽕, 전복짬뽕, 항아리짬뽕[1]을 비롯해서 주로 해안지방을 중심으로 그 지역의 해산물을 적극 활용한 지역특산 짬뽕들을 볼 수 있다. 군산이나 강릉, 속초 같은 해안 도시에서 이런 특징을 반영한 짬뽕들을 볼 수 있다.
라면 버전도 있다. 농심의 오징어짬뽕이 압도적인 스테디셀러. 그러나 말만 짬뽕이지 중국집 짬뽕과는 거리가 멀었는데, 2015년 경에 프리미엄 짜장라면 경쟁에 이은 프리미엄 짬뽕라면 경쟁이 벌어지면서 중국집 짬뽕과 가까운 맛을 내는 것들도 등장했다. 물론 그래봐야 차이는 상당히 있다. 그나마 프리미엄 짬뽕라면 열풍이 식으면서 보기 어려워졌다.
술국으로도 꽤 인기가 있어서, 메뉴에는 없어도 술울 시키면서 짬뽕국물을 주문하면 만들어 주는 중국집들이 많다. 그냥 짬뽕보다는 비싼 대신 건더기를 좀 더 넣어준다.
한편 짬뽕에 면 대신 밥을 넣는 짬뽕밥도 있다. 말 그대로 면 대신 밥인데, 상당수 중국집에서는 짬뽕밥을 주문하면 당면을 좀 넣어 준다. 메뉴에 없어도 보통 달라면 만들어 준다. 해장으로 짬뽕밥을 좋아하는 사람들도 많다. 술 마신 다음날 얼큰한 짬뽕국물이 생각나는데 면보다는 아무래도 밥을 먹고 싶어하는 사람들에게는 짬뽕밥이 정답.
각주
- ↑ 게, 전복을 비롯한 고급 해산물을 여러 가지 넣고 만들어 항아리에 담아 내는 짬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