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위키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7번째 줄: 7번째 줄:
[[파일:Sliced raw mackerel.jpg|upright 1.5|섬네일|없음|고등어회.]]
[[파일:Sliced raw mackerel.jpg|upright 1.5|섬네일|없음|고등어회.]]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구이]]나 [[조림]]으로 해 먹는다. [[회]]로 먹기도 하지만 산패가 빨리 일어나기 때문에 운송과 보존이 까다로운 놈이라, 산지가 아니면 보기 힘들다. 오죽하면 선어회가 대세인 일본에서도 고등어회는 활어회가 많다. 특히 고등어가 많이 잡히는 [[후쿠오카]] 쪽은 고등어 활어회를 많이 먹는 편이다. 그래도 요즘은 운송 기술도 발달하고, 침을 놓아서 기절시킨 다음 운송하는 방법도 있어서 서울을 비롯해서 산지와 먼 곳에서도 고등어회를 파는 곳이 생겼다. [[일식]]집이나 [[이자카야]]에서는 [[시메사바]]를 팔기도 하는데, 제대로 하는 곳에서는 정말 맛있는 [[시메사바]]를 만드는 곳도 있지만 냉동 제품을 파는 곳도 많으니 주의하자. 냉동 제품은 맛도 없는 데다가 비린내도 장난이 아니다. [[시메사바]]가 비린내를 잡고 살균효과도 주기 위한 목적이 있는 건데 [[시메사바]]에서 비린내가 난다면 완전 실패작이다. 직접 [[시메사바]]를 만드는 가게에서도 비린내를 확실하게 잡아내는 곳은 그리 많지 않다. 비린내를 싹 잡고 살도 너무 단단하지도 무르지도 않은 [[시메사바]]를 만드는 요리사라면 실력은 믿어도 될 정도로 난이도가 높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구이]]나 [[조림]]으로 해 먹는다. [[회]]로 먹기도 하지만 산패가 빨리 일어나기 때문에 운송과 보존이 까다로운 놈이라, 산지가 아니면 보기 힘들다. 오죽하면 선어회가 대세인 일본에서도 고등어회는 활어회가 많다. 특히 고등어가 많이 잡히는 [[후쿠오카]] 쪽은 고등어 활어회를 많이 먹는 편이다. 그래도 요즘은 운송 기술도 발달하고, 침을 놓아서 기절시킨 다음 운송하는 방법도 있어서 서울을 비롯해서 산지와 먼 곳에서도 고등어회를 파는 곳이 생겼다.  
 
[[파일:Shimesaba.jpg|upright 1.5|섬네일|없음|[[시메사바]].]]
 
[[일식]]집이나 [[이자카야]]에서는 날고등어를 식초에 절인 [[시메사바]]<ref>우리나라에서는 '고등어 초절임'이라고도 한다.</ref>를 팔기도 하는데, 제대로 하는 곳에서는 정말 맛있는 [[시메사바]]를 만드는 곳도 있지만 냉동 제품을 파는 곳도 많으니 주의하자. 냉동 제품은 맛도 없는 데다가 비린내도 장난이 아니다. [[시메사바]]가 비린내를 잡고 살균효과도 주기 위한 목적이 있는 건데 [[시메사바]]에서 비린내가 난다면 완전 실패작이다. 직접 [[시메사바]]를 만드는 가게에서도 비린내를 확실하게 잡아내는 곳은 그리 많지 않다. 비린내를 싹 잡고 살도 너무 단단하지도 무르지도 않은 [[시메사바]]를 만드는 요리사라면 실력은 믿어도 될 정도로 난이도가 높다.


보존성을 높이기 위해서 고등어의 배를 가르고 소금을 뿌려서 [[자반]]을 만들기도 하는데, 보존성이 나아지니까 가격도 저렴하고, 짭짤한 맛 때문에 [[자반]] 고등어 구이를 좋아하는 사람들도 많다. 여기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된 게 안동의 명물 간고등어. 다만 전통의 고장 안동의 이미지와는 다르게 간고등어는 그리 역사가 오래되진 않았다.<ref>안동찜닭도 흔히 생각하는 이미지와는 다르게 1970년대에 한 치킨집에서 시작된 음식이다.</ref>
보존성을 높이기 위해서 고등어의 배를 가르고 소금을 뿌려서 [[자반]]을 만들기도 하는데, 보존성이 나아지니까 가격도 저렴하고, 짭짤한 맛 때문에 [[자반]] 고등어 구이를 좋아하는 사람들도 많다. 여기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된 게 안동의 명물 간고등어. 다만 전통의 고장 안동의 이미지와는 다르게 간고등어는 그리 역사가 오래되진 않았다.<ref>안동찜닭도 흔히 생각하는 이미지와는 다르게 1970년대에 한 치킨집에서 시작된 음식이다.</ref>

2020년 10월 1일 (목) 01:56 판

등푸른 생선의 대표 주자. 적어도 우리나라에서는 등푸른 생선 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게 고등어다. 그만큼 많이 먹고, 조리법도 다양하다.

'고등어'라는 말은 원래는 '고도리'에서 나온 것이다. 지금은 고등어 새끼를 뜻하는 말이지만 옛날에는 '고도리'가 고등어를 뜻하는 우리말이었다.

연근해에서도 잡히지만 워낙 수요가 많은 물고기다 보니 노르웨이산 고등어도 수입되고 있다. 수입이라고는 하지만 이 노르웨이산 고등어가 워낙 실하고 맛도 좋은 데다가 수산업 강국답게 품질관리도 아주 잘 하기 때문에 인기가 많다. 심지어는 국산보다도 낫다는 말이 나올 정도. 그밖에는 일본산도 많이 들어오는 편이다.

고등어회.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구이조림으로 해 먹는다. 로 먹기도 하지만 산패가 빨리 일어나기 때문에 운송과 보존이 까다로운 놈이라, 산지가 아니면 보기 힘들다. 오죽하면 선어회가 대세인 일본에서도 고등어회는 활어회가 많다. 특히 고등어가 많이 잡히는 후쿠오카 쪽은 고등어 활어회를 많이 먹는 편이다. 그래도 요즘은 운송 기술도 발달하고, 침을 놓아서 기절시킨 다음 운송하는 방법도 있어서 서울을 비롯해서 산지와 먼 곳에서도 고등어회를 파는 곳이 생겼다.

일식집이나 이자카야에서는 날고등어를 식초에 절인 시메사바[1]를 팔기도 하는데, 제대로 하는 곳에서는 정말 맛있는 시메사바를 만드는 곳도 있지만 냉동 제품을 파는 곳도 많으니 주의하자. 냉동 제품은 맛도 없는 데다가 비린내도 장난이 아니다. 시메사바가 비린내를 잡고 살균효과도 주기 위한 목적이 있는 건데 시메사바에서 비린내가 난다면 완전 실패작이다. 직접 시메사바를 만드는 가게에서도 비린내를 확실하게 잡아내는 곳은 그리 많지 않다. 비린내를 싹 잡고 살도 너무 단단하지도 무르지도 않은 시메사바를 만드는 요리사라면 실력은 믿어도 될 정도로 난이도가 높다.

보존성을 높이기 위해서 고등어의 배를 가르고 소금을 뿌려서 자반을 만들기도 하는데, 보존성이 나아지니까 가격도 저렴하고, 짭짤한 맛 때문에 자반 고등어 구이를 좋아하는 사람들도 많다. 여기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된 게 안동의 명물 간고등어. 다만 전통의 고장 안동의 이미지와는 다르게 간고등어는 그리 역사가 오래되진 않았다.[2]

고등어를 소재로 한 노래도 있다. 가장 유명한 건 역시 산울림의 <어머니와 고등어>. 루시드 폴의 <고등어>는 고등어의 시점에서 고단한 서민들의 삶을 바라보는 가사와 부르기 쉬운 잔잔한 가락으로 노래방에서 은근 인기 있는 노래다.

각주

  1. 우리나라에서는 '고등어 초절임'이라고도 한다.
  2. 안동찜닭도 흔히 생각하는 이미지와는 다르게 1970년대에 한 치킨집에서 시작된 음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