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바셋: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초기에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많이 찾던 [[카페 아메리카노]]는 없었으며, 비슷한 것으로 [[카페 룽고]]만 있었는데, 이제는 새 [[카페 아메리카노]]도 메뉴에 추가되었다. 폴 바셋이 [[호주]] 출신이기 때문에 [[호주]]에서 [[아메리카노]]와 비슷한 음료인 [[롱 블랙]]이 있을 법도 하지만 메뉴에는 [[롱 블랙]]은 없으며, [[호주]]에서 [[에스프레소]]를 뜻하는 [[쇼트 블랙]] 없이 메뉴에는 없고 그냥 [[에스프레소]]로 올라 있다. 추가 요금을 내면 [[디카페인 커피]]도 선택할 수 있는데, 단 [[카페 룽고]]는 [[디카페인]]을 선택할 수 없다.<ref>직원에게 물어보면 [[카페 룽고]]의 특성이 디카페인과는 안 맞는다고 설명한다.</ref> | 초기에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많이 찾던 [[카페 아메리카노]]는 없었으며, 비슷한 것으로 [[카페 룽고]]만 있었는데, 이제는 새 [[카페 아메리카노]]도 메뉴에 추가되었다. 폴 바셋이 [[호주]] 출신이기 때문에 [[호주]]에서 [[아메리카노]]와 비슷한 음료인 [[롱 블랙]]이 있을 법도 하지만 메뉴에는 [[롱 블랙]]은 없으며, [[호주]]에서 [[에스프레소]]를 뜻하는 [[쇼트 블랙]] 없이 메뉴에는 없고 그냥 [[에스프레소]]로 올라 있다. 추가 요금을 내면 [[디카페인 커피]]도 선택할 수 있는데, 단 [[카페 룽고]]는 [[디카페인]]을 선택할 수 없다.<ref>직원에게 물어보면 [[카페 룽고]]의 특성이 디카페인과는 안 맞는다고 설명한다.</ref> | ||
[[일본]]에도 [[도쿄]] [[신주쿠]]에 매장이 있다. 오히려 [[일본]] 쪽에 먼저 열었는데 흥하고 있는 곳은 [[한국]]이다. 앞으로 어떻게 될지는 모르지만 한동안 [[일본]] 매장은 [[신주쿠]] 하나 뿐이었다가 [[시부야]]에 2호점을 냈다. [http://www.paulbassett.jp/ 일본 홈페이지]도 있다. [[일본]]도 오래 전부터 워낙에 [[커피]] 수준이 높은 데다가 압도적으로 [[에스프레소]] 쪽으로 쏠린 한국에 비해 여전히 [[드립 커피]]가 강세인지라 폴 바셋이 [[일본]]에서 먹힐지는 두고 볼 일.<ref>일본에서 [[에스프레소]] 중심으로 성공하고 있는 체인점은 [[스타벅스]] 정도. 일본에 체인점이 많이 깔려 있는 [[ | [[일본]]에도 [[도쿄]] [[신주쿠]]에 매장이 있다. 오히려 [[일본]] 쪽에 먼저 열었는데 흥하고 있는 곳은 [[한국]]이다. 앞으로 어떻게 될지는 모르지만 한동안 [[일본]] 매장은 [[신주쿠]] 하나 뿐이었다가 [[시부야]]에 2호점을 냈다. [http://www.paulbassett.jp/ 일본 홈페이지]도 있다. [[일본]]도 오래 전부터 워낙에 [[커피]] 수준이 높은 데다가 압도적으로 [[에스프레소]] 쪽으로 쏠린 한국에 비해 여전히 [[드립 커피]]가 강세인지라 폴 바셋이 [[일본]]에서 먹힐지는 두고 볼 일.<ref>일본에서 [[에스프레소]] 중심으로 성공하고 있는 체인점은 [[스타벅스]] 정도. 일본에 체인점이 많이 깔려 있는 [[탈리스커피]](Tully's Coffee)나 [[도토루]]도 [[에스프레소]] 베이스 음료를 팔기는 하지만 일본 커피 시장 안에서 아직까지 [[에스프레소]]가 메인으로 자리 잡고 있지는 않다.</ref> 일본에서는 [[피자]]까지 판다. | ||
우리나라에서는 [[커피]] 말고도 [[아이스크림]]으로도 인기가 좋다. 상하목장 [[우유]]로 만든 [[소프트 아이스크림]]을 팔고 있는데 [[매일유업]]이 투자했으니 당연한 일. 이 역시 당연히 우리나라 한정이다. | 우리나라에서는 [[커피]] 말고도 [[아이스크림]]으로도 인기가 좋다. 상하목장 [[우유]]로 만든 [[소프트 아이스크림]]을 팔고 있는데 [[매일유업]]이 투자했으니 당연한 일. 이 역시 당연히 우리나라 한정이다. |
2022년 4월 12일 (화) 09:17 판
Paul Bassett.
호주 출신의 바리스타 폴 바셋이 만든 에스프레소 전문점 체인.[1] 한국 체인은 매일유업의 외식부문 자회사인 엠즈씨드에서 운영하고 있다. 당연히 유제품은 매일유업 것을 쓴다.
우리나라에서는 2003년 호주 바리스타 챔피언십 우승자 및 월드 바리스타 챔피언십 우승자라는 걸 엄청나게 밀고 있다. 그래서 호주에서 엄청 잘 나가고 폴 바셋 체인점도 호주에 있는 게 한국에 들어온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그렇지는 않다. 일단 호주에는 폴 바셋 체인점이 없다. 영어로 된 홈페이지가 있긴 하지만 그냥 포장한 원두만 팔고 있다. 그밖에는 기계 판매 및 관리, 바리스타 교육 정도를 하고 있는데 여기서는 바리스타 챔피언이니 뭐니 그런 얘기는 그냥 자기 소개에서 간단히 언급되고 끝.
월드 바리스타 챔피언십은 주최하는 단체가 미국과 유럽의 스페셜티 커피 협회 주관이고 각국의 바리스타 챔피언십 우승자가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하는 거라 커피업계에서는 가장 권위 있는 대회 중 하나로 인정해 준다. 이러한 대회에서 우승한 사람은 분명히 세계적인 실력을 갖춘 바리스타인 것은 분명하지만 호주의 커피 산업은 워낙에 경쟁이 치열하고 수준도 세계적이라 그냥 동네 카페만 가도 우리나라 기준으로는 끝내주는 커피를 뽑아주는 데가 널리고 널린 곳이다.
정작 호주에서는 커피 좋아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도 그의 이름을 아는 사람이 별로 없다. 우리나라에서만 열나게 흥하고 있다. 한국에 왔다가 이 광경을 본 호주 사람들이 "폴 바셋?" 하고 고개를 갸우뚱할 정도. 반대로 한국에서 폴 바셋 팬이었던 사람이 호주에 여행가서 폴 바셋 카페를 찾았는데 구경도 못하겠더라...는 얘기도 블로그나 SNS에 종종 올라온다. 물론 월드 바리스타 챔피언이니만큼 커피 전문가들은 이름을 알고 있겠지만.
초기에는 확실히 커피의 질이 좋았다. 스타벅스를 비롯해서 미국 시애틀 쪽에서 한국으로 건너온 에스프레소 전문점들이 지나치게 로스팅을 세게 한 나머지 에스프레소를 마셔 보면 쓴맛만 디립다 나는 것과 비교해 보면 폴 바셋의 에스프레소는 확실히 커피가 가진 다양한 아로마를 잘 살려서 좋은 피니시를 끌어냈다. 카페 룽고에 추가 샷을 두 개 정도 넣어도 쓰다는 느낌보다는 길고 멋진 피니시가 있었다. 명성이 과장이든 뭐든, 커피맛만 좋으면 되는 것 아닌가. 처음 매장을 개설한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지하 1층에는 아예 로스팅 시설을 갖춰놓고 직접 로스팅해서 커피를 만들기도 했다.
그러나 체인점이 왕창 늘다 보니 예전만 못하는 의견이 늘고 있다. 피니시가 주는 감동은 확실히 예전만 못해졌다. 그래도 한국의 어중이떠중이 커피 체인점보다는 여전히 한 수 위이긴 하지만 과거와 같은 감동이 줄어든 건 분명하다. 일단 초기에는 매장에서 바로 로스팅을 했으니 신선도 관리가 좋았겠지만 체인점이 늘면서는 포장된 원두를 쓰는 곳들이 늘고 있기 때문에 품질이 떨어지는 것은 불가피한 일이다.
꼭 폴 바셋이 아니어도 호주는 커피 좀 아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정말 알아주는 나라다. 특히 멜버른은 동네 카페 아무 데나 가도 한국 커피는 갖다 버리고 싶을 만큼 좋은 커피를 마실 수 있을 정도로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커피의 천국이다. BBC가 세계 최고의 커피 도시 6곳 중에 하나로 멜버른을 꼽기도 했다.[2][3] 현지 사람들은 호주, 특히 멜버른 쪽에 에스프레소의 고향인 이탈리아계 이민자들이 많은 것을 이유로 꼽는다. 대형 체인으로는 글로리아진이나 허드슨커피 같은 브랜드가 있지만[4] 지역 카페들의 경쟁이 워낙 치열하고 사방팔방에 좋은 카페가 많은 만큼, 폴 바셋이 고향인 호주에서는 기를 펴기에는 쉽지 않았을 것이다.
초기에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많이 찾던 카페 아메리카노는 없었으며, 비슷한 것으로 카페 룽고만 있었는데, 이제는 새 카페 아메리카노도 메뉴에 추가되었다. 폴 바셋이 호주 출신이기 때문에 호주에서 아메리카노와 비슷한 음료인 롱 블랙이 있을 법도 하지만 메뉴에는 롱 블랙은 없으며, 호주에서 에스프레소를 뜻하는 쇼트 블랙 없이 메뉴에는 없고 그냥 에스프레소로 올라 있다. 추가 요금을 내면 디카페인 커피도 선택할 수 있는데, 단 카페 룽고는 디카페인을 선택할 수 없다.[5]
일본에도 도쿄 신주쿠에 매장이 있다. 오히려 일본 쪽에 먼저 열었는데 흥하고 있는 곳은 한국이다. 앞으로 어떻게 될지는 모르지만 한동안 일본 매장은 신주쿠 하나 뿐이었다가 시부야에 2호점을 냈다. 일본 홈페이지도 있다. 일본도 오래 전부터 워낙에 커피 수준이 높은 데다가 압도적으로 에스프레소 쪽으로 쏠린 한국에 비해 여전히 드립 커피가 강세인지라 폴 바셋이 일본에서 먹힐지는 두고 볼 일.[6] 일본에서는 피자까지 판다.
우리나라에서는 커피 말고도 아이스크림으로도 인기가 좋다. 상하목장 우유로 만든 소프트 아이스크림을 팔고 있는데 매일유업이 투자했으니 당연한 일. 이 역시 당연히 우리나라 한정이다.
멤버십과 선불 충전식 카드를 운영하고 있다. 스타벅스만큼 인기가 있지는 않지만 1+1이나 할인 쿠폰이 후하게 나오는 편으로 자주 가는 사람이라면 멤버십을 만들면 좋다. 모바일 앱도 있으며 스타벅스처럼 충전식 카드를 모바일 앱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각주
- ↑ 나중에 드립 커피도 추가했지만 메인은 에스프레소다. 호주의 커피 문화도 이탈리아 이민자들이 주축으로 형성한 에스프레소 중심이다.
- ↑ "Living in: The world’s top coffee cities", BBC, 23 April 2014.
- ↑ 이 BBC의 리스트 안에는 아시아의 도시도 하나 들어 있는데 드립 커피 문화의 한 축이다시피 했던 일본이 아닌 대만의 타이페이다.
- ↑ 스타벅스도 진출해 있는데 지점이 그리 많지 않다.
- ↑ 직원에게 물어보면 카페 룽고의 특성이 디카페인과는 안 맞는다고 설명한다.
- ↑ 일본에서 에스프레소 중심으로 성공하고 있는 체인점은 스타벅스 정도. 일본에 체인점이 많이 깔려 있는 탈리스커피(Tully's Coffee)나 도토루도 에스프레소 베이스 음료를 팔기는 하지만 일본 커피 시장 안에서 아직까지 에스프레소가 메인으로 자리 잡고 있지는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