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 화이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위키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파일:Flat white with soya milk.JPG|400px|가운데|썸네일|플랫 화이트. 다만 [[우유]] 대신 [[두유]]를 사용한 것이다.]]
[[파일:Flat white with soya milk.JPG|400px|가운데|썸네일|플랫 화이트. 다만 [[우유]] 대신 [[두유]]를 사용한 것이다.]]


[[에스프레소]]와 [[우유]](또는 [[두유]])로 만든 음료 중 하나로, [[호주]]를 중심으로 [[뉴질랜드]]에서도 널리 볼 수 있다. 다른 지역에서는 쉽게 볼 수 없는데 요즘 들어 괜히 우라나라에서 이걸 메뉴에 집어 넣은 곳들이 있다. 예를 들어 [[투썸플레이스]]. <del>그런데 정작 [[호주]] 브랜드인 [[글로리아진]] 한국 매장에는 플랫 화이트가 없다. [[폴 바셋]] 한국 매장에도 없다.</del>
[[에스프레소]]와 [[우유]](또는 [[두유]])로 만든 음료 중 하나로, [[호주]]를 중심으로 [[뉴질랜드]]에서도 널리 볼 수 있다. 다른 지역에서는 쉽게 볼 수 없는데 요즘 들어 괜히 우라나라에서 이걸 메뉴에 집어 넣은 곳들이 있다. 예를 들어 [[투썸플레이스]]. 그런데 정작 [[호주]] 브랜드인 [[글로리아진]] 한국 매장에는 플랫 화이트가 없다. [[호주]] 출신 바리스타의 이름을 내건 [[폴 바셋]] 한국 매장에도 없다.<ref>[[일본]] 매장에는 있다고 한다.</ref>


역사는 그리 오래 되지 않아서 1980년대 중반에 [[호주]] [[시드니]]에서 처음 등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역사는 그리 오래 되지 않아서 1980년대 중반에 [[호주]] [[시드니]]에서 처음 등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뉴질랜드]] 사람들은 자기들이 먼저 만든 거라고 주장한다.  


[[에스프레소]]에 [[스팀밀크]]의 뜨거운 [[우유]]를 붓고, 그 위에 마이크로폼을 얹어서 낸다. [[커피]] 한 잔을 만들 때 [[호주]]는 보통 한 개의 [[에스프레소]] 샷을. [[뉴질랜드]]는 두 개의 [[리스트레토]] 샷을 쓰기 때문에 [[뉴질랜드]] 쪽이 [[커피]] 맛이 더 진하게 나온다. 다른 대륙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커피]] 음료. <del>[[오세아니아]] 대륙의 위엄. 오오.</del> 이쪽 대륙은 플랫 화이트 말고도 [[롱 블랙]]이나 [[쇼트 블랙]]과 같이 여기서만 통하는 용어 또는 [[커피]] 음료들이 있다.
==만드는 방법==
 
[[에스프레소]]에 [[스팀밀크]]의 뜨거운 [[우유]]를 붓고, 그 위에 마이크로폼을 얹어서 낸다. [[커피]] 한 잔을 만들 때 [[호주]]는 보통 한 개의 [[에스프레소]] 샷을. [[뉴질랜드]]는 두 개의 [[리스트레토]] 샷을 쓰는 것이 보통인지라 [[뉴질랜드]] 쪽이 [[커피]] 맛이 더 강렬하게 나온다. 다른 대륙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커피]] 음료. <del>[[오세아니아]] 대륙의 위엄. 오오.</del> 이쪽 대륙은 플랫 화이트 말고도 [[롱 블랙]]이나 [[쇼트 블랙]]과 같이 여기서만 통하는 용어 또는 [[커피]] 음료들이 있다.
 
==라테와 차이는?==


늘 나오는 논쟁거리 중 하나가 도대체 이게 [[카페 라테]]와 다른게 뭐냐는 거다. 그게 그거다. 차이 없다! 이렇게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무슨 소리, 엄연히 다른 음료다! 하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 아무튼 두 음료 사이의 차이는 이렇다.
늘 나오는 논쟁거리 중 하나가 도대체 이게 [[카페 라테]]와 다른게 뭐냐는 거다. 그게 그거다. 차이 없다! 이렇게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무슨 소리, 엄연히 다른 음료다! 하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 아무튼 두 음료 사이의 차이는 이렇다.
14번째 줄: 18번째 줄:
* [[호주]]에서는 [[라테]]는 손잡이 없는 유리잔, 즉 [[텀블러]]에 나오고, 플랫 화이트는 손잡이가 있는 도자기잔에 담겨 나온다.  조금 큰 커피잔 모양의 잔이 많이 쓰인다. <del>이건 맛하고는 관계 없잖아.</del>
* [[호주]]에서는 [[라테]]는 손잡이 없는 유리잔, 즉 [[텀블러]]에 나오고, 플랫 화이트는 손잡이가 있는 도자기잔에 담겨 나온다.  조금 큰 커피잔 모양의 잔이 많이 쓰인다. <del>이건 맛하고는 관계 없잖아.</del>


두 개가 같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커피잔 말고 다른 게 뭐야!' 하고 외친다. <del>그런 거 다 거품이라고! 그런데 거품 차이가 맞긴 하다.</del> 위의 차이로 보면 분명 같은 음료라고 말할 수 없는데, [[스팀 밀크]] 만드는 기술, 즉 마이크로폼을 만드는 기술이 떨어지거나 <del>왠지 한국에서 파는 플랫 화이트는 이쪽 혐의가 짙다.</del> 그냥 싸구려 [[라테]]에 이름만 뭔가 독특해 보이려고 플랫 화이트라고 붙여 놓으면 '이게 뭐가 달라!' 하는 소리 듣기 딱 좋다. 당연히 다른 게 없으니까. 제대로 만들었다고 해도 둘 사이의 차이가 엄청 큰 건 아니라서 마시는 사람도 제대로 음미하지 않는다면 둘을 잘 구별 못할 것이다.
두 개가 같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커피잔 말고 다른 게 뭐야!' 하고 외친다. <del>그런 거 다 거품이라고! 그런데 거품 차이가 맞긴 하다.</del> 커피와  우유의 비율이 좀 다른 면이 있지만 이건 가게 사이에도 어느 정도 차이가 있어서 딱 부러지게 라테와 플랫 화이트의 차이를 말하기도 뭣하고, 가장 큰 차이는 거품의 차이에 따른 외관과 질감이라고 할 수 있겠다. [[라테]]나 [[카푸치노]]가 입자가 굵은 프로스 때문에 위로 좀 부풀어 오른 모습이라면, 플랫 화이트는 덜 부풀어 오르는 마이크로폼을 쓰기 때문에  좀 평평한 모습(flat)을 하고 있다. [[카푸치노]]는 프로스를 [[라테]]보다도 더 많이 쓴다.
 
플랫 화이트는  위의 차이로 보면 분명 같은 음료라고 말할 수 없는데, [[스팀 밀크]] 만드는 기술, 즉 마이크로폼을 만드는 기술이 떨어지거나 <del>왠지 한국에서 파는 플랫 화이트는 이쪽 혐의가 짙다.</del> 그냥 싸구려 [[라테]]에 이름만 뭔가 독특해 보이려고 플랫 화이트라고 붙여 놓으면 '이게 뭐가 달라!' 하는 소리 듣기 딱 좋다. 당연히 다른 게 없으니까. 제대로 만들었다고 해도 둘 사이의 차이가 엄청 큰 건 아니라서 마시는 사람도 제대로 음미하지 않는다면 둘을 잘 구별 못할 것이다.


[[Category:커피]]
[[Category:커피]]

2016년 4월 4일 (월) 22:24 판

flat white.

플랫 화이트. 다만 우유 대신 두유를 사용한 것이다.

에스프레소우유(또는 두유)로 만든 음료 중 하나로, 호주를 중심으로 뉴질랜드에서도 널리 볼 수 있다. 다른 지역에서는 쉽게 볼 수 없는데 요즘 들어 괜히 우라나라에서 이걸 메뉴에 집어 넣은 곳들이 있다. 예를 들어 투썸플레이스. 그런데 정작 호주 브랜드인 글로리아진 한국 매장에는 플랫 화이트가 없다. 호주 출신 바리스타의 이름을 내건 폴 바셋 한국 매장에도 없다.[1]

역사는 그리 오래 되지 않아서 1980년대 중반에 호주 시드니에서 처음 등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뉴질랜드 사람들은 자기들이 먼저 만든 거라고 주장한다.

만드는 방법

에스프레소스팀밀크의 뜨거운 우유를 붓고, 그 위에 마이크로폼을 얹어서 낸다. 커피 한 잔을 만들 때 호주는 보통 한 개의 에스프레소 샷을. 뉴질랜드는 두 개의 리스트레토 샷을 쓰는 것이 보통인지라 뉴질랜드 쪽이 커피 맛이 더 강렬하게 나온다. 다른 대륙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커피 음료. 오세아니아 대륙의 위엄. 오오. 이쪽 대륙은 플랫 화이트 말고도 롱 블랙이나 쇼트 블랙과 같이 여기서만 통하는 용어 또는 커피 음료들이 있다.

라테와 차이는?

늘 나오는 논쟁거리 중 하나가 도대체 이게 카페 라테와 다른게 뭐냐는 거다. 그게 그거다. 차이 없다! 이렇게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무슨 소리, 엄연히 다른 음료다! 하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 아무튼 두 음료 사이의 차이는 이렇다.

  • 라테스팀 밀크 거품을 끼얹을 때 먼저 마이크로폼을 조금 끼얹고 그 위에 다시 가장 위의 층인 조금 입자가 굵은 거품, 즉 프로스 부분을 쓰지만 플랫 화이트는 프로스는 거의 쓰지 않고 마이크로폼을 집중적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스팀 밀크를 만들 때에도 플랫 화이트를 만들 때에는 마이크로폼을 최대한 많이 만들어야 한다.
  • 호주에서는 라테는 손잡이 없는 유리잔, 즉 텀블러에 나오고, 플랫 화이트는 손잡이가 있는 도자기잔에 담겨 나온다. 조금 큰 커피잔 모양의 잔이 많이 쓰인다. 이건 맛하고는 관계 없잖아.

두 개가 같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커피잔 말고 다른 게 뭐야!' 하고 외친다. 그런 거 다 거품이라고! 그런데 거품 차이가 맞긴 하다. 커피와 우유의 비율이 좀 다른 면이 있지만 이건 가게 사이에도 어느 정도 차이가 있어서 딱 부러지게 라테와 플랫 화이트의 차이를 말하기도 뭣하고, 가장 큰 차이는 거품의 차이에 따른 외관과 질감이라고 할 수 있겠다. 라테카푸치노가 입자가 굵은 프로스 때문에 위로 좀 부풀어 오른 모습이라면, 플랫 화이트는 덜 부풀어 오르는 마이크로폼을 쓰기 때문에 좀 평평한 모습(flat)을 하고 있다. 카푸치노는 프로스를 라테보다도 더 많이 쓴다.

플랫 화이트는 위의 차이로 보면 분명 같은 음료라고 말할 수 없는데, 스팀 밀크 만드는 기술, 즉 마이크로폼을 만드는 기술이 떨어지거나 왠지 한국에서 파는 플랫 화이트는 이쪽 혐의가 짙다. 그냥 싸구려 라테에 이름만 뭔가 독특해 보이려고 플랫 화이트라고 붙여 놓으면 '이게 뭐가 달라!' 하는 소리 듣기 딱 좋다. 당연히 다른 게 없으니까. 제대로 만들었다고 해도 둘 사이의 차이가 엄청 큰 건 아니라서 마시는 사람도 제대로 음미하지 않는다면 둘을 잘 구별 못할 것이다.

  1. 일본 매장에는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