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항기
국내선 항공편이지만 국제선을 이용하는 환승 승객 전용으로 운항되어 국제선처럼 운영되는 항공편. 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미주, 유럽, 대양주 노선을 타려면 인천국제공항으로 가야 한다. 부산에서 이렇게 가려면 KTX나[1] 장거리 공항버스를 타고 인천공항까지 가야 하는데, 만약 김해공항에서 인천공항까지 가는 항공편이 있다면 훨씬 편리할 것이다. 그런데 김해-인천은 국내선이기 때문에[2] 일단 인천에서 짐을 찾고 도착장으로 나온 다음 다시 국제선 체크인을 하고 짐을 부치고 출국수속을 해야 한다. 그 반대도 마찬가지.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나온 것이 내항기다. 내항기는 국내선 구간을 운항하지만 국제선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 입출국수속은 첫 출발지 또는 최종 도착지에서 한다. 예를 들어 김해-인천-로스엔젤레스라면 입출국수속을 인천공항이 아닌 김해공항에서 한다.
- 따라서 내항기 구간만 이용하려는 승객은 탈 수 없다. 즉 국제선 환승 승객만 이용할 수 있다.
- 물론 출도착도 국제선 터미널에서 하며 보안검색도 국제선과 같은 기준을 적용한다.
- 내항기와 국제선 사이 환승은 국제선 사이 환승과 같은 방식이다. 즉, 위의 예에 서 인천공항에 내렸다면 환승 통로를 해서 보안검색만 다시 받고 보세구역으로 나가면 된다.
내항기를 뜻하는 딱히 적절한 영어 단어는 없고 대한항공은 transit exclusive domestic flight(환승전용 국내선)라고 쓰고 있다.
2018년 여름 기준으로 인천-부산에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인천-대구 구간에는 대한항공이 내항기를 운항하고 있다. 그밖에 인천-제주 구간도 있긴 하지만 이건 내항기가 아니라 그냥 국내선으로 운영하고 있다. 대체로 자기네 항공사 혹은 자기네 항공동맹체 승객을 위주로 운항하는 거라 그렇지 않은 환승객은 예약이 안 되거나 예약이 되어도 운임이 비싸다든가[3], 수하물 이전이 안 되거나 하는 문제가 있다.
내항기에 익숙하지 않은 승객, 특히 외국인 승객들은 정확한 이용법을 설명 받지 못하면 낭패를 볼 수 있다. 가장 저지르기 쉬운 실수가 내항기를 타기 전에 입국심사를 해 버리는 것이다. 예를 들어 런던-인천-부산을 이용하는 승객이 인천공항에서 입국심사를 해 버리면 인천-부산 내항기를 절대 탈 수 없다. 입국심사장에서는 승객이 내항기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여권을 내면 그냥 입국심사를 진행한다. 만약 짐까지 있다면 일이 더 꼬인다. 물론 출국할 때에도 인천공항에서는 국제선 환승을 이용해야 하지만 이 경우는 이미 내항기를 타기 전에 출국심사를 하고 출발하기 때문에 혼란이 적은 편이다.
내항기와는 다르지만 비슷한 면이 있는 항공편도 있는데, 국제선이지만 한 국가 안에서 두 곳 이상 들르는 항공편이 있다. 루프트한자는 예전에 김해-인천-부산-뮌헨 항공편을 굴린 적이 있다. 김해공항에 있던 유일한 장거리 노선이었는데, 다만 김해-인천-부산 구간만 이용할 수는 없었다. 지금은 인천-부산-뮌헨으로 단축된 상태. 지못미 김해.
지방공항, 특히 내항기가 다니고 있는 김해공항으로서는 영 좋지 않은 노선인데, 내항기를 통해 지역의 국제항공 수요가 인천으로 빨려 나가기 때문에 지방공항발 외국 직항 노선 개척에는 장애물이 되기 때문이다. 내항기가 다니고 나서 루프트한자가 김해-인천-부산-뮌헨 노선을 인천발로 단축시킨 게 대표 사례다. 핀에어를 비롯한 다른 항공사들도 김해발 장거리 노선을 뚫는 걸 주저하는 원인이 되고 있기도 하다.
각주
- ↑ 2018년 평창올림픽 이후로 인천공항 직통 KTX가 운행이 중지되었으며 코레일은 수요 부족을 이유로 아예 운행을 중단하려고 한다. 결국 9월 1일부터 완전 중단 확정. 서울역에서 공항철도로 환승해야 한다.
- ↑ 모르는 사람들이 많은데, 인천공항에도 국내선 게이트가 있다 제1터미널 가장 오른편에 체크인 카운터와 보안검색대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 예를 들어 자기네 환승객에게는 국내선 운임을 받지만 그밖에는 국제선 기준으로 운임을 받는다든가 하는 식이다. 같은 거리라도 국제선은 운임이 비싼 편이고 편도 운임이 왕복 운임의 절반보다 훨씬 비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