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크통: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오크나무로 만든 통. [[레드 와인]]이나 일부 [[화이트 와인]]을 숙성할 때도 쓰이며 [[위스키]], [[브랜디]]를 비롯한 여러 [[증류주]]를 숙성시킬 때에는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 싸구려인 경우에는 편법을 쓰기도 하지만 제대로 만든 것이라면 오크통을 다녀와야 한다. | 오크나무로 만든 통. [[레드 와인]]이나 일부 [[화이트 와인]]을 숙성할 때도 쓰이며 [[위스키]], [[브랜디]]를 비롯한 여러 [[증류주]]를 숙성시킬 때에는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 싸구려인 경우에는 편법을 쓰기도 하지만 제대로 만든 것이라면 오크통을 다녀와야 한다. [[이탈리아]]의 [[와인]][[식초]]인 [[발사믹]] 역시 고급품일수록 오크통 숙성을 거친다. | ||
오크통이 하는 기능은 여러 가지다. 먼저 [[위스키]]나 [[브랜디]]가 가진 특유의 루비 빛깔은 오크통 숙성 과정에서 나오는 것이다. 증류를 막 마친 [[술]]은 어떤 것이나 무색 투명하다. [[보드카]]나 [[진]]과 같이 오크통 숙성을 거치지 않은 증류주는 색깔이 없는데 이런 것을 [[오드비]]라고 한다. 또한 오크통을 만들 때, 안쪽을 불에 그을린다. 잡균도 제거하고, [[술]]에 빛깔과 구운 듯한 <del>[[불맛]]</del>향을 더해준다. 얼마나 깊게 그을릴지도 [[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오크통은 술이 밖으로 줄줄 새어나가지는 않을 정도로 밀폐력이 좋지만 그렇다고 완전히 차폐되는 것은 아닌데, [[술]]이 나무에 스며들기도 하지만 미세하게 바깥으로 증발하기도 한다. 그래서 숙성이 길어질수록 술의 양이 해마다 2% 정도씩 줄어든다. 나무에 스며들어서 손실되는 것을 [[데블스 컷]], 바깥으로 증발되어 사라지는 것은 [[엔젤스 쉐어]]라고 부른다. | 오크통이 하는 기능은 여러 가지다. 먼저 [[위스키]]나 [[브랜디]]가 가진 특유의 루비 빛깔은 오크통 숙성 과정에서 나오는 것이다. 증류를 막 마친 [[술]]은 어떤 것이나 무색 투명하다. [[보드카]]나 [[진]]과 같이 오크통 숙성을 거치지 않은 증류주는 색깔이 없는데 이런 것을 [[오드비]]라고 한다. 또한 오크통을 만들 때, 안쪽을 불에 그을린다. 잡균도 제거하고, [[술]]에 빛깔과 구운 듯한 <del>[[불맛]]</del>향을 더해준다. 얼마나 깊게 그을릴지도 [[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오크통은 술이 밖으로 줄줄 새어나가지는 않을 정도로 밀폐력이 좋지만 그렇다고 완전히 차폐되는 것은 아닌데, [[술]]이 나무에 스며들기도 하지만 미세하게 바깥으로 증발하기도 한다. 그래서 숙성이 길어질수록 술의 양이 해마다 2% 정도씩 줄어든다. 나무에 스며들어서 손실되는 것을 [[데블스 컷]], 바깥으로 증발되어 사라지는 것은 [[엔젤스 쉐어]]라고 부른다.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프랑스]]산 오크통을 가장 고급으로 쳐 주지만 요즘은 북아메리카산 오크통도 점점 사용이 늘고 있다. 심지어 [[프랑스]] [[와인]] 중에도 북아메리카산 오크통을 쓰는 것들이 있다. | [[프랑스]]산 오크통을 가장 고급으로 쳐 주지만 요즘은 북아메리카산 오크통도 점점 사용이 늘고 있다. 심지어 [[프랑스]] [[와인]] 중에도 북아메리카산 오크통을 쓰는 것들이 있다. | ||
오크통도 블렌당을 한다. 예를 들어 [[프랑스]]산 오크통 60%, [[ | 오크통도 블렌당을 한다. 예를 들어 [[프랑스]]산 오크통 60%, [[미국]]산 오크통 40%와 같은 식으로 블렌딩하거나, 새 오크통 3분의 1, 한 번 쓴 오크통 3분의 2와 같은 식으로 양조한 다음 나중에 술을 한데 섞기도 한다. 프랑스산과 미국산 둘 다 숙성했을 때 각자 고유한 특성이 있어서 이들을 조화시켜서 좀 더 복잡미묘한 향미를 내기 위해 두 가지를 블렌딩해서 쓰는 게 대세다. | ||
[[위스키]] 중에는 [[와인]]이나 다른 [[위스키]]를 양조했던 오크통을 가져다가 숙성에 사용하는 곳도 많다. | [[위스키]] 중에는 [[와인]]이나 다른 [[위스키]]를 양조했던 오크통을 가져다가 숙성에 사용하는 곳도 많다. [[와인]]을 머금고 있던 오크통에 위스키를 숙성하면 [[와인]]의 향미가 다시 [[위스키]]로 녹아들기 때문. 특히 고급 [[위스키]]들 중에는 대놓고 [[와인]] 숙성에 썼던 오크통을 썼다고 자랑하기도 한다. [[맥켈란]]을 비롯한 [[싱글 몰트 위스키]]들이 [[쉐리]] 같은 [[강화 와인]], 심지어는 [[버번 위스키]] 숙성에 썼던 오크통으로 숙성했다고 대놓고 자랑한다. <del>[[싱글 몰트 위스키]]와 비교하면 [[버번]]이 싸구려인데</del><ref>[[옥수수]]를 주 원료로 잡곡으로 만들며 [[미국]] 원산이라는 이미지, 그리고 [[스코틀랜드]]에서는 이런 스타일의 [[그레인 위스키]]는 [[블렌디드 위스키]] 만들 때나 쓰이는 게 보통이기 때문에 [[버번]]은 싸구려라는 인식이 있지만 [[버번]]도 비싼 녀석은 아득히 비싸다. 그리고 [[싱글 몰트 위스키]] 중에는 [[버번]] 숙성에 사용했던 오크통을 사용하는 것도 상당히 많다. 참고로 미국은 새 오크통만으로 숙성해야 [[버번]]이라는 이름을 쓸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ref> [[와인]] 오크통으로 숙성한 [[위스키]]는 알듯 모를듯 과일향이 감돌아서 [[위스키]]와 묘한 조화를 이룬다. 특히 강렬하게 톡 쏘는 듯한 [[몰트 위스키]]라면 지나치게 날이 서 있는 [[몰트]]향을 [[와인]]의 흔적이 조금 누그러뜨려서 균형감을 잡아줄 수 있다. | ||
{{각주}} | {{각주}} | ||
[[Category:술]] | [[Category:술]] |
2019년 12월 28일 (토) 19:56 판
오크나무로 만든 통. 레드 와인이나 일부 화이트 와인을 숙성할 때도 쓰이며 위스키, 브랜디를 비롯한 여러 증류주를 숙성시킬 때에는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 싸구려인 경우에는 편법을 쓰기도 하지만 제대로 만든 것이라면 오크통을 다녀와야 한다. 이탈리아의 와인식초인 발사믹 역시 고급품일수록 오크통 숙성을 거친다.
오크통이 하는 기능은 여러 가지다. 먼저 위스키나 브랜디가 가진 특유의 루비 빛깔은 오크통 숙성 과정에서 나오는 것이다. 증류를 막 마친 술은 어떤 것이나 무색 투명하다. 보드카나 진과 같이 오크통 숙성을 거치지 않은 증류주는 색깔이 없는데 이런 것을 오드비라고 한다. 또한 오크통을 만들 때, 안쪽을 불에 그을린다. 잡균도 제거하고, 술에 빛깔과 구운 듯한 불맛향을 더해준다. 얼마나 깊게 그을릴지도 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오크통은 술이 밖으로 줄줄 새어나가지는 않을 정도로 밀폐력이 좋지만 그렇다고 완전히 차폐되는 것은 아닌데, 술이 나무에 스며들기도 하지만 미세하게 바깥으로 증발하기도 한다. 그래서 숙성이 길어질수록 술의 양이 해마다 2% 정도씩 줄어든다. 나무에 스며들어서 손실되는 것을 데블스 컷, 바깥으로 증발되어 사라지는 것은 엔젤스 쉐어라고 부른다.
프랑스산 오크통을 가장 고급으로 쳐 주지만 요즘은 북아메리카산 오크통도 점점 사용이 늘고 있다. 심지어 프랑스 와인 중에도 북아메리카산 오크통을 쓰는 것들이 있다.
오크통도 블렌당을 한다. 예를 들어 프랑스산 오크통 60%, 미국산 오크통 40%와 같은 식으로 블렌딩하거나, 새 오크통 3분의 1, 한 번 쓴 오크통 3분의 2와 같은 식으로 양조한 다음 나중에 술을 한데 섞기도 한다. 프랑스산과 미국산 둘 다 숙성했을 때 각자 고유한 특성이 있어서 이들을 조화시켜서 좀 더 복잡미묘한 향미를 내기 위해 두 가지를 블렌딩해서 쓰는 게 대세다.
위스키 중에는 와인이나 다른 위스키를 양조했던 오크통을 가져다가 숙성에 사용하는 곳도 많다. 와인을 머금고 있던 오크통에 위스키를 숙성하면 와인의 향미가 다시 위스키로 녹아들기 때문. 특히 고급 위스키들 중에는 대놓고 와인 숙성에 썼던 오크통을 썼다고 자랑하기도 한다. 맥켈란을 비롯한 싱글 몰트 위스키들이 쉐리 같은 강화 와인, 심지어는 버번 위스키 숙성에 썼던 오크통으로 숙성했다고 대놓고 자랑한다. 싱글 몰트 위스키와 비교하면 버번이 싸구려인데[1] 와인 오크통으로 숙성한 위스키는 알듯 모를듯 과일향이 감돌아서 위스키와 묘한 조화를 이룬다. 특히 강렬하게 톡 쏘는 듯한 몰트 위스키라면 지나치게 날이 서 있는 몰트향을 와인의 흔적이 조금 누그러뜨려서 균형감을 잡아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