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뮬러 3: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위키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Formula Three (F3).
Formula Three (F3).


[[포뮬러 카]]의 일종. 또는 그에 해당하는 차량들로 경쟁하는 경기. [[국제자동차연맹]](FIA)에서 공통 기술 규정을 정해 놓은 [[포뮬러 카]]는 [[포뮬러 1]]과 포뮬러 3  뿐이었다.<ref>이전에는 F2니 F3000 같은 클래스가 있었으나 지금은 사라졌고 유럽 F1 경기의 서포트 레이스로 열리는 GP2, GP3는 FIA에서 정한 클래스는 아니다.</ref> [[국제스포츠규칙]] 부칙 J [[제275조]]가 포뮬러 3 기술규정이다. 그러나 2014년부터 [[포뮬러 4]]가 새롭게 출범하면서 FIA 공통 [[기술규정]]으로 운영되는 [[포뮬러 카]]가 하나 더 늘었다.
[[포뮬러 카]]의 일종. 또는 그에 해당하는 차량들로 경쟁하는 경기. [[국제자동차연맹]](FIA)에서 [[국제스포츠규칙]]으로 공통 기술 규정을 정해 놓은 [[포뮬러 카]]는 [[포뮬러 1]]과 포뮬러 3  뿐이었다.<ref>이전에는 [[F2]]니 F3000 같은 클래스가 있었으나 지금은 사라졌고 유럽 [[F1]] 경기의 서포트 레이스로 열렸던 [[GP2]], [[GP3]]는 [[FIA]]에서 정한 클래스는 아니다.</ref> [[국제스포츠규칙]] 부칙 J 제275조가 포뮬러 3 기술규정이다. 그러나 2014년부터 [[포뮬러 4]]가 새롭게 출범하면서 [[FIA]] 공통 기술규정으로 운영되는 [[포뮬러 카]]가 하나 더 늘었다. [[버니 에클레스톤]]이 [[F1]] 운영에서 <del>잘린</del> 물러난 뒤 [[GP2]]와 [[F2]] 경기도 다시 부활했지만 [[FIA]] [[F2]] 챔피언십 하나만을 위한 것이라 [[국제스포츠규칙]]에 기술규정이 있지 않고 [[F1]]처럼 별개 규정으로 분류한다. [[GP3]]은 F3이 대체했다.


[[엔진]]은 4기통 2000cc 자연흡기 가솔린 엔진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일반 승용차용 엔진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성능을 조절하기 위해서 공기 흡입량을 제한하는 [[에어 리스트릭터]]를 의무로 달아야 한다. 그 때문에 [[F3]] 차량을 보면 한쪽에 마치 미사일 발사기를 달아놓은 것 같다. <del>걸리적 거리는 놈 있으면 쏴 버릴 기세.</del> [[엔진]]과 [[섀시]]는 규정에만 맞으면 어느 회사든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지만 돌아가는 분위기는 [[달라라]]가 꽉 잡고 있다. 보통 경기 전후에 이 리스트릭터의 진공도 검사를 한다. 여기에 진공 펌프를 부착하고 일정 정도 이상 진공도가 안 나오면 불합격.
[[엔진]]은 4기통 2000cc 자연흡기 가솔린 엔진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일반 승용차용 엔진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성능을 조절하기 위해서 공기 흡입량을 제한하는 [[에어 리스트릭터]]를 의무로 달아야 한다. 그 때문에 F3 차량을 보면 한쪽에 마치 미사일 발사기를 달아놓은 것 같다. <del>걸리적 거리는 놈 있으면 쏴 버릴 기세.</del> [[엔진]]과 [[섀시]]는 규정에만 맞으면 어느 회사든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지만 돌아가는 분위기는 [[달라라]]가 꽉 잡고 있다. 보통 경기 전후에 이 리스트릭터의 지름과 진공도 검사를 한다. 리스트릭터 안에 규정된 최대 지름보다 좁은 곳이 없거나 여기에 진공 펌프를 부착하고 일정 정도 이상 진공도가 안 나오면 불합격. 그런데 [[GP3]]이 없어지고 F3이 대체하면서, GP3에서 사용했던 차량이 F3에도 쓰이고 있으며, 더 나아가서 향후에는 [[GP3]] 스펙이 완전한 F3 스펙으로 자리 잡을 예정이다. 즉 앞으로 F3 차량의 상징과도 같았던 [[크고 아름다운]] [[리스트릭터]]는 자취를 감출 예정이다.


과거에는 [[F1]]과 F3 사이에 [[포뮬러 2]](F2)가 있었으나 [[포뮬러 3000]]으로 대체되었다가 없어지고, 잠시 부활했다가 없어졌다. 2017년 들어서 다시 [[FIA]] 주도로 [[F2]]를 부활시켰지만 글쎄 얼마나 또 갈지는... 반면 F3은 안정적으로 [[유럽]], [[일본]], [[호주]]를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에서 개최되고 있다. 문제는 국내 단위 [[포뮬러 카]] 레이스 자체의 인기가 전 같지 않은지라 참가 팀이나 선수 모으는 게 쉽지 않은 분위기다.  
과거에는 [[F1]]과 F3 사이에 [[포뮬러 2]](F2)가 있었으나 [[포뮬러 3000]]으로 대체되었다가 없어지고, 잠시 부활했다가 없어졌다. 2017년 들어서 다시 [[FIA]] 주도로 [[F2]]를 부활시켰지만 글쎄 얼마나 또 갈지는... 반면 F3은 안정적으로 [[유럽]], [[일본]], [[호주]]를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에서 개최되고 있다. 문제는 국내 단위 [[포뮬러 카]] 레이스 자체의 인기가 전 같지 않은지라 참가 팀이나 선수 모으는 게 쉽지 않은 분위기다.  


[[유럽]]에서 열리는 [[F1]] 그랑프리 경기의 서포트 레이스로 개최되는 [[GP3]]는 F3와는 다른 차량이다.
[[유럽]]에서 열리는 [[F1]] 그랑프리 경기의 서포트 레이스로 개최했던 [[GP3]]는 F3와는 다른 차량이다.


F3의 최대 행사라면 역시 해마다 11월에 열리는 [[마카오 그랑프리]]. 이 대회는 아주 많은 종류의 경기로 구성되어 있으나 뭐니뭐니해도 메인 이벤트는 F3다. 전 세계에서 F3또는 그와 비슷한 급의 경기에 참가하는 선수들이 모여서 경기를 펼치며 이 중에 [[F1]]으로 곧바로 직행하는 선수들도 종종 등장한다. 1999년부터 2003년까지 [[마카오 그랑프리]] 바로 다음 주에 벌어졌던 [[F3 코리아 슈퍼프리]]  대회에 참가했던 [[젠슨 버튼]], [[루이스 해밀턴]]은 F1으로 승격해서 챔피언까지 접수하셨다. 2014년 [[마카오 그랑프리]]에 참가한 선수 중에는 [[요스 페르스타펜]]의 아들 [[막스 페르스타펜]]이 이듬해 [[F1]] [[스쿠데리아 토로로소]] 팀 드라이버로 승격됐다. 뭐, [[마카오 그랑프리|마카오]] 가기 전에 이미 확정된 거였지만...
F3의 최대 행사라면 역시 해마다 11월에 열리는 [[마카오 그랑프리]]. 이 대회는 아주 많은 종류의 경기로 구성되어 있으나 뭐니뭐니해도 메인 이벤트는 F3다. 전 세계에서 F3또는 그와 비슷한 급의 경기에 참가하는 선수들이 모여서 경기를 펼치며 이 중에 [[F1]]으로 곧바로 직행하는 선수들도 종종 등장한다. 1999년부터 2003년까지 [[마카오 그랑프리]] 바로 다음 주에 벌어졌던 [[F3 코리아 슈퍼프리]]  대회에 참가했던 [[젠슨 버튼]], [[루이스 해밀턴]]은 F1으로 승격해서 챔피언까지 접수하셨다. 2014년 [[마카오 그랑프리]]에 참가한 선수 중에는 [[요스 페르스타펜]]의 아들 [[막스 페르스타펜]]이 이듬해 [[F1]] [[스쿠데리아 토로로소]] 팀 드라이버로 승격됐다. 뭐, [[마카오 그랑프리|마카오]] 가기 전에 이미 확정된 거였지만... 우리나라에서도 1999년부터 2003년까지 창원의 [[스트리트 서킷]]에서 [[마카오 그랑프리]] 바로 다음 주에 F3 코리아 슈퍼프리 대회가 열린 바 있다. 마카오 그랑프리에 참여했던 선수들이 거의 그대로 오기 때문에 당시 한국의 [[모터스포츠]]에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수준 높은 레이스가 펼쳐진 바 있다.


{{각주}}
{{각주}}


[[Category:모터스포츠]]
[[Category:모터스포츠]]

2021년 10월 10일 (일) 16:51 기준 최신판

Formula Three (F3).

포뮬러 카의 일종. 또는 그에 해당하는 차량들로 경쟁하는 경기. 국제자동차연맹(FIA)에서 국제스포츠규칙으로 공통 기술 규정을 정해 놓은 포뮬러 카포뮬러 1과 포뮬러 3 뿐이었다.[1] 국제스포츠규칙 부칙 J 제275조가 포뮬러 3 기술규정이다. 그러나 2014년부터 포뮬러 4가 새롭게 출범하면서 FIA 공통 기술규정으로 운영되는 포뮬러 카가 하나 더 늘었다. 버니 에클레스톤F1 운영에서 잘린 물러난 뒤 GP2F2 경기도 다시 부활했지만 FIA F2 챔피언십 하나만을 위한 것이라 국제스포츠규칙에 기술규정이 있지 않고 F1처럼 별개 규정으로 분류한다. GP3은 F3이 대체했다.

엔진은 4기통 2000cc 자연흡기 가솔린 엔진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일반 승용차용 엔진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성능을 조절하기 위해서 공기 흡입량을 제한하는 에어 리스트릭터를 의무로 달아야 한다. 그 때문에 F3 차량을 보면 한쪽에 마치 미사일 발사기를 달아놓은 것 같다. 걸리적 거리는 놈 있으면 쏴 버릴 기세. 엔진섀시는 규정에만 맞으면 어느 회사든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지만 돌아가는 분위기는 달라라가 꽉 잡고 있다. 보통 경기 전후에 이 리스트릭터의 지름과 진공도 검사를 한다. 리스트릭터 안에 규정된 최대 지름보다 좁은 곳이 없거나 여기에 진공 펌프를 부착하고 일정 정도 이상 진공도가 안 나오면 불합격. 그런데 GP3이 없어지고 F3이 대체하면서, GP3에서 사용했던 차량이 F3에도 쓰이고 있으며, 더 나아가서 향후에는 GP3 스펙이 완전한 F3 스펙으로 자리 잡을 예정이다. 즉 앞으로 F3 차량의 상징과도 같았던 크고 아름다운 리스트릭터는 자취를 감출 예정이다.

과거에는 F1과 F3 사이에 포뮬러 2(F2)가 있었으나 포뮬러 3000으로 대체되었다가 없어지고, 잠시 부활했다가 없어졌다. 2017년 들어서 다시 FIA 주도로 F2를 부활시켰지만 글쎄 얼마나 또 갈지는... 반면 F3은 안정적으로 유럽, 일본, 호주를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에서 개최되고 있다. 문제는 국내 단위 포뮬러 카 레이스 자체의 인기가 전 같지 않은지라 참가 팀이나 선수 모으는 게 쉽지 않은 분위기다.

유럽에서 열리는 F1 그랑프리 경기의 서포트 레이스로 개최했던 GP3는 F3와는 다른 차량이다.

F3의 최대 행사라면 역시 해마다 11월에 열리는 마카오 그랑프리. 이 대회는 아주 많은 종류의 경기로 구성되어 있으나 뭐니뭐니해도 메인 이벤트는 F3다. 전 세계에서 F3또는 그와 비슷한 급의 경기에 참가하는 선수들이 모여서 경기를 펼치며 이 중에 F1으로 곧바로 직행하는 선수들도 종종 등장한다. 1999년부터 2003년까지 마카오 그랑프리 바로 다음 주에 벌어졌던 F3 코리아 슈퍼프리 대회에 참가했던 젠슨 버튼, 루이스 해밀턴은 F1으로 승격해서 챔피언까지 접수하셨다. 2014년 마카오 그랑프리에 참가한 선수 중에는 요스 페르스타펜의 아들 막스 페르스타펜이 이듬해 F1 스쿠데리아 토로로소 팀 드라이버로 승격됐다. 뭐, 마카오 가기 전에 이미 확정된 거였지만... 우리나라에서도 1999년부터 2003년까지 창원의 스트리트 서킷에서 마카오 그랑프리 바로 다음 주에 F3 코리아 슈퍼프리 대회가 열린 바 있다. 마카오 그랑프리에 참여했던 선수들이 거의 그대로 오기 때문에 당시 한국의 모터스포츠에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수준 높은 레이스가 펼쳐진 바 있다.

각주

  1. 이전에는 F2니 F3000 같은 클래스가 있었으나 지금은 사라졌고 유럽 F1 경기의 서포트 레이스로 열렸던 GP2, GP3FIA에서 정한 클래스는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