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무김밥: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파일:Chungmu gimbab.jpg|upright 1.5|섬네일|없음|경상남도 통영시 <한일김밥>의 충무김밥.]] | [[파일:Chungmu gimbab.jpg|upright 1.5|섬네일|없음|경상남도 통영시 <한일김밥>의 충무김밥.]] | ||
[[김밥]]의 일종. 다른 [[김밥]]은 김 위에 밥과 함께 여러 가지 재료를 올려놓고 말아내는 것과 달리 충무김밥은 그냥 밥으로만 만다. 김이나 밥에 참기름도 안 | [[김밥]]의 일종. 다른 [[김밥]]은 김 위에 밥과 함께 여러 가지 재료를 올려놓고 말아내는 것과 달리 충무김밥은 그냥 밥으로만 만다. 굵은 손가락처럼 밥을 김에 마는데 김이나 밥에 참기름도 안 바르는 것은 물론 밥에 간조차도 안 한다. 그 때문에 김밥만 먹으면 정말로 밋밋하다. 대신 섞박지와 오징어무침을 반찬으로 따로 내준다. 여기에 시래기 된장국(시락국)을 같이 주는 게 정석. | ||
충무김밥의 유래는 [[경상남도]] 통영시 충무항. 뱃사람들은 짧게는 하루 길게는 며칠씩 뱃일을 나가는데 간편하게 끼니를 해결하자면 [[김밥]]만한 것도 별로 없다. 그래서 항구 근처에는 김밥을 머리에 이고 다니면서 뱃사람들에게 파는 장사꾼들이 많았다. 문제는 특히 날이 더울 때면 김밥의 속재료가 상한다. 속재료가 상하면 밥까지 금방 쉬어버린다. 배 위에서 탈이 나면 바로 병원으로 갈 수도 없으니 난감한 상황. 그러다가 역발상이 나왔다. '그러면 속재료를 안 넣고 밥만 김에 말면 되잖아?' | 충무김밥의 유래는 [[경상남도]] 통영시 충무항. 뱃사람들은 짧게는 하루 길게는 며칠씩 뱃일을 나가는데 간편하게 끼니를 해결하자면 [[김밥]]만한 것도 별로 없다. 그래서 항구 근처에는 김밥을 머리에 이고 다니면서 뱃사람들에게 파는 장사꾼들이 많았다. 문제는 특히 날이 더울 때면 김밥의 속재료가 상한다. 속재료가 상하면 밥까지 금방 쉬어버린다. 배 위에서 탈이 나면 바로 병원으로 갈 수도 없으니 난감한 상황. 그러다가 역발상이 나왔다. '그러면 속재료를 안 넣고 밥만 김에 말면 되잖아?' | ||
물론 밥과 김만 있는 [[김밥]]을 꾸역꾸역 먹기는 힘들고 당연히 영양도 꽝이다. 그래서 나오는 반찬이 충무항에서 쉽게 구할 수 있었던 재료인 [[주꾸미]]와 [[홍합]]을 이용한 무침과 [[무]][[김치]]였다. 그 지역에서 구하기 쉬운 재료였을 것이고 금방 상하지도 않으니 [[충무항]] 뱃사람들에게 인기가 좋았다. 그 뒤에 [[홍합]]은 빠지고 [[주꾸미]]는 운송 발달로 가격이 확 싸진 [[오징어]]로 바뀌었다. 여기에 [[어묵]]이 들어갔다. <del>싸잖아.</del> 그렇게 지역에서는 자리를 잡았지만 전국구 진출은 그보다 한참 뒤였다. [[전두환]] 정권이 들어서고 [[5.18]]을 유혈진압한 1년 뒤에 정부 주도로 [[국풍 81]]이란 대규모 문화 이벤트를 만드는데 각지의 먹을거리들도 여기에 판을 벌렸다. 이 행사에서 충무김밥이 대박을 치면서 단숨에 전국구 음식으로 발돋움한다. | 물론 밥과 김만 있는 [[김밥]]을 꾸역꾸역 먹기는 힘들고 당연히 영양도 꽝이다. 그래서 나오는 반찬이 충무항에서 쉽게 구할 수 있었던 재료인 [[주꾸미]]와 [[홍합]]을 이용한 무침과 [[무]][[김치]]였다. 그 지역에서 구하기 쉬운 재료였을 것이고 금방 상하지도 않으니 [[충무항]] 뱃사람들에게 인기가 좋았다. 그 뒤에 [[홍합]]은 빠지고 [[주꾸미]]는 운송 발달로 그때 당시로는 가격이 확 싸진 [[오징어]]로 바뀌었다. 여기에 [[어묵]]이 들어갔다. <del>싸잖아.</del> 그렇게 지역에서는 자리를 잡았지만 전국구 진출은 그보다 한참 뒤였다. [[전두환]] 정권이 들어서고 [[5.18]]을 유혈진압한 1년 뒤에 정부 주도로 [[국풍 81]]이란 대규모 문화 이벤트를 만드는데 각지의 먹을거리들도 여기에 판을 벌렸다. 이 행사에서 충무김밥이 대박을 치면서 단숨에 전국구 음식으로 발돋움한다. | ||
통영에 가면 물론 여기저기에 충무김밥집이 자리를 잡고 있는데, 어느 집이 원조냐가 좀 모호하다. 원래는 강구안 여객터미널에 원조집이 있었는데 여객터미널이 없어져서 이사 가는 과정에서 세 명의 할머니가 각자 가게를 냈기 때문. 그런데 세 집 다 예전만 못하다는 소리를 듣고 있다. 어느 집이든 역사가 오래되고 대를 잇다 보면 듣는 소리이긴 하다. 옛날 거를 어디서 구해다가 비교 시식을 해 볼 수도 없는 일이고... 그래도 늘 드나들던 단골이라면 맛 변화를 알아차릴 수는 있을 것이다. 재료가 수입산이나 싸구려로 바뀌었다든지 할 수 있으니. | 통영에 가면 물론 여기저기에 충무김밥집이 자리를 잡고 있는데, 어느 집이 원조냐가 좀 모호하다. 원래는 강구안 여객터미널에 원조집이 있었는데 여객터미널이 없어져서 이사 가는 과정에서 세 명의 할머니가 각자 가게를 냈기 때문. 그런데 세 집 다 예전만 못하다는 소리를 듣고 있다. 어느 집이든 역사가 오래되고 대를 잇다 보면 듣는 소리이긴 하다. 옛날 거를 어디서 구해다가 비교 시식을 해 볼 수도 없는 일이고... 그래도 늘 드나들던 단골이라면 맛 변화를 알아차릴 수는 있을 것이다. 재료가 수입산이나 싸구려로 바뀌었다든지 할 수 있으니. 심지어 시간이 갈수록 [[오징어]]가 점점 줄고 [[어묵]]만 잔뜩 들어 있는데 가격은 계속 올라서 점점 욕을 먹고 있다. | ||
==다른 지역의 충무김밥== | |||
[[부산]]에 가도 충무김밥 파는 곳이 도처에 있다. [[통영]]에서 가까워서 그런지 통영처럼 [[오징어]]무침에 [[부추]]와 [[어묵]]이 들어가 있다. 부산 이곳저곳에서 충무김밥 파는 곳은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고 은근 맛있는 집들도 많고, 지역 체인도 있다. 아예 남포동 세명약국 옆 골목은 충무김밥과 [[비빔당면]]을 주로 하는 노점들이 주욱 펼쳐져 있다. | |||
[[파일:Chungmu gimbab myeong dong.jpg|upright 1.5|섬네일|없음]] | [[파일:Chungmu gimbab myeong dong.jpg|upright 1.5|섬네일|없음]] | ||
서울 [[명동]]에도 충무김밥집이 있다. 꽤 인기가 있어서 [[명동]]을 대표하는 오랜 맛집 가운데 하나로 일본인 관광객의 모습도 종종 볼 수 있다. 원래는 두 업소가 경쟁하고 있었는데 한 곳만 살아남아서 명동 일대에 분점을 여러 개 냈다. 다만 통영 쪽 사람들은 이게 무슨 충무김밥이냐, 맛이 완전히 다르다고 불만이다. [[통영]] 쪽 충무김밥은 오징어무침에 [[어묵]]과 [[부추]]가 들어가는데 [[명동]]의 충무김밥은 오로지 [[오징어]] 뿐이다. <s>그럼 이게 재료비가 더 비싼데.</s> 그리고 통영보다 맛이 티나게 달다. 그런데 원래 어떤 지역에 뿌리 박은 음식이 다른 지역으로 가면 그 동네 입맛에 맞춰서 변하는 현상은 충무김밥만이 아니라 흔히 나타난다. 제일 불만은 더럽게 비싼 가격. 2015년 기준으로 무려 7천원이니까, 통영 시세의 두 배다. 2019년에는 9천으로 또 | 서울 [[명동]]에도 충무김밥집이 있다. 꽤 인기가 있어서 [[명동]]을 대표하는 오랜 맛집 가운데 하나로 일본인 관광객의 모습도 종종 볼 수 있다. 원래는 두 업소가 경쟁하고 있었는데 한 곳만 살아남아서 명동 일대에 분점을 여러 개 냈다. 다만 통영 쪽 사람들은 이게 무슨 충무김밥이냐, 맛이 완전히 다르다고 불만이다. [[통영]] 쪽 충무김밥은 오징어무침에 [[어묵]]과 [[부추]]가 들어가는데 [[명동]]의 충무김밥은 오로지 [[오징어]] 뿐이다. <s>그럼 이게 재료비가 더 비싼데.</s> 그리고 통영보다 맛이 티나게 달다. 그런데 원래 어떤 지역에 뿌리 박은 음식이 다른 지역으로 가면 그 동네 입맛에 맞춰서 변하는 현상은 충무김밥만이 아니라 흔히 나타난다. 제일 불만은 더럽게 비싼 가격. 안 그래도 통영 충무김밥도 바가지 논란이 있는데 여긴 한술 더 뜬다. 2015년 기준으로 무려 7천원이니까, 통영 시세의 두 배다. 2019년에는 9천으로 또 올랐고, 2024년 초 기준으로는 11,000원으로 드디어 1만 원을 돌파했다. 성인 남자라면 1인분 가지고는 모자라고 2인분은 먹어야 양이 차는 사람들도 많기 때문에 거의 2만 원이 넘어가 버린다. | ||
그나마 좋은 점이 있다면 [[오징어]]나 무김치를 넉넉하게 준다. 직원들이 돌아다니면서 반찬이 모자라는지 보고 알아서 더 준다. 사실 통영 충무김밥도 옛날에는 반찬을 넉넉하게 주었다고 한다. [[김밥]]을 다 먹고도 남아서 싸가지고 가서 집 반찬으로 먹을 정도였다는데, 점점 줄더니 이제는 [[김밥]] 먹으면 딱 맞을 정도로만 준다. 게다가 통영이나 경남 일대의 충무김밥이 오징어는 점점 줄고 그 자리를 [[어묵]]이 차지해서 이제는 어묵김밥이나 마찬가지가 되어 버린 반면, 명동충무김밥은 비싸긴 하지만 여전히 [[어묵]] 없이 오징어만 사용한다. 다만 이제는 명동충무김밥도 오징어 반찬은 1회에 한해서만 무료로 리필해 주고, 두 번째부터는 2천 원을 받는다. <del>왠지 리필 한 번 안 받으면 손해 보는 기분이 든다.</del> 같이 나오는 국물도 통영이나 부산 쪽은 시락국인 반면 여기는 멸치장국이다. | |||
==바가지 논란== | |||
아무튼 서울 명동은 물론이고 통영의 충무김밥도 지나치게 비싸다는 논란이 많다. 재료라고 할 것도 상당히 단촐한 편이다 보니, 갖가지 재료가 들어가는 5~6천 원짜리 모둠김밥과 비교해도 원가 대비 지나치게 바가지 아니냐는 논란이 많다. SBS에서 스브스뉴스를 통해 충무김밥이 비싼 이유에 관해 살펴보았는데<ref>[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449218 "가격은 부담스럽지만…그만큼 값을 하는 '충무 김밥'"], SBS, 2017년 10월 23일.</ref>, 가장 큰 이유는 인건비라고 한다. 일반 [[김밥]]은 김 전지 한 장에 밥과 재료를 올리고 한 번에 말아내지만 충무김밥은 작은 [[김밥]]을 일일이 말아서 내야 하므로 비쌀 수밖에 없다는 것, | |||
[[ | 하지만 설득력이 떨어지는 게, 일반 [[김밥]]이 알고 보면 오히려 손이 훨씬 많이 가고 난이도가 높다. 일반 [[김밥]]은 여러 가지 재료를 손질하서 데치고 볶고 한 다음 가지런히 정리해 놨다가 김에다가 밥을 펼치고, 속재료를 하나씩 차곡차곡 올리고, 크게 말아내야 하고 모양을 잡은 뒤에 칼로 썰어야 하는 여러 가지 단계를 거쳐야 한다. 자칫하면 [[김밥]] 옆구리 터지기 일쑤다. 물론 미리 만들어 놓은 다음 주문이 들어오면 썰어서 낼 수도 있지만 그거야 충무김밥도 마찬가지다. 충무김밥은 오징어무침과 섞박지를 미리 대량으로 만들어 놓을 수 있고,<ref>가끔 오징어무침이나 섞박지가 해동이 약간 덜 되어서 서걱서걱한 식감을 느낄 수 있는 경우도 있다. </ref> [[김밥]] 마는 과정은 속을 넣는 [[김밥]]보다 훨씬 단순하기 때문에 숙련된 사람은 금방금방 1인분을 말아낸다. 충무김밥 8개 마는 게 김밥 한 줄 마는 것에 비해서 엄청난 인건비가 들어가는 게 아니다. 게다가 요즘은 충무김밥 말아주는 기계까지 있어서 잘 팔리는 집은 아예 기계를 쓰기도 한다. 지하철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꼬마김밥의 경우, 충무김밥과 비슷한 굵기지만 속재료를 넣고 말아야 하므르 난이도가 좀 더 높다. 2024년 초 기준으로 하나에 2,000~2,500원 정도이므로 갯수로 따지면 충무김밥보다 비싸지만 길이가 더 길다. 섞박지나 오징어무침을 얼마나 맛나게 만드느냐만 관리한다면 만드는 데에는 오히려 손이 훨씬 덜 가는 게 충무김밥이다. | ||
그래도 비싸네 어쩌네 해도 여전히 사먹는 사람들이 많고, 장사가 잘 된다는 건 어쨌거나 맛이 있기 때문에 그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찾는다는 뜻. 그리고 외국 음식은 더 비싼 것도 잘만 사먹으면서 충무김밥만 그러느냐는 반론도 가능하다. 웬만한 [[파스타]] 전문점에서 1만 원을 훌쩍 넘는 [[알료 에 올리오 파스타]]를 생각해 보자. 뭐가 들어가나? [[스파게티]], [[올리브유]], [[마늘]], [[소금]], 그 정도가 주 재료다. 원가로 따지면 충무김밥보다도 못할 수 있지만 만원 훌쩍 넘는 가격으로도 잘만 파는 곳들이 한두 군데인가?<ref>다만 외국 음식은 현지에서 완전 대중화되지 않은 한은 비싸다. 한국의 [[김치찌개]]나 [[된장찌개]]도 외국에서 가서 먹으려면 가격이 두 배로 뛰는 일은 흔하다.</ref> 원가는 원가고, '맛'에 지불하는 가치도 인정할 필요는 있을 것이다. '[[김밥]]'이라는 이름 때문에 저렴한 음식이어야 한다는 이미지가 결부되긴 하지만 그래도 엄연히 하나의 명물 음식으로 특화된 만큼 [[분식집]] [[김밥]]과 대접은 다를 수밖에 없을 것이다. | |||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에서 얘기했던 것처럼 가격은 일반 [[김밥]]을 훨씬 뛰어넘을 정도로 비싸졌는데 오징어는 찾아보기 힘들고 [[어묵]]이 채우고 있는 게 현재의 충무김밥이다. 그나마 [[어묵]] 안 쓰고 [[오징어]]만 쓴다는 명동충무김밥은 2024년 초 기준으로 1만원을 돌파했다. 재료는 점점 질이 떨어지는데 가격은 올리니까 바가지라고 욕을 먹을 수밖에 없다. | |||
{{각주}} | {{각주}} | ||
[[Category:한국음식]] | [[Category:한국음식]] |
2024년 2월 1일 (목) 13:48 기준 최신판
김밥의 일종. 다른 김밥은 김 위에 밥과 함께 여러 가지 재료를 올려놓고 말아내는 것과 달리 충무김밥은 그냥 밥으로만 만다. 굵은 손가락처럼 밥을 김에 마는데 김이나 밥에 참기름도 안 바르는 것은 물론 밥에 간조차도 안 한다. 그 때문에 김밥만 먹으면 정말로 밋밋하다. 대신 섞박지와 오징어무침을 반찬으로 따로 내준다. 여기에 시래기 된장국(시락국)을 같이 주는 게 정석.
충무김밥의 유래는 경상남도 통영시 충무항. 뱃사람들은 짧게는 하루 길게는 며칠씩 뱃일을 나가는데 간편하게 끼니를 해결하자면 김밥만한 것도 별로 없다. 그래서 항구 근처에는 김밥을 머리에 이고 다니면서 뱃사람들에게 파는 장사꾼들이 많았다. 문제는 특히 날이 더울 때면 김밥의 속재료가 상한다. 속재료가 상하면 밥까지 금방 쉬어버린다. 배 위에서 탈이 나면 바로 병원으로 갈 수도 없으니 난감한 상황. 그러다가 역발상이 나왔다. '그러면 속재료를 안 넣고 밥만 김에 말면 되잖아?'
물론 밥과 김만 있는 김밥을 꾸역꾸역 먹기는 힘들고 당연히 영양도 꽝이다. 그래서 나오는 반찬이 충무항에서 쉽게 구할 수 있었던 재료인 주꾸미와 홍합을 이용한 무침과 무김치였다. 그 지역에서 구하기 쉬운 재료였을 것이고 금방 상하지도 않으니 충무항 뱃사람들에게 인기가 좋았다. 그 뒤에 홍합은 빠지고 주꾸미는 운송 발달로 그때 당시로는 가격이 확 싸진 오징어로 바뀌었다. 여기에 어묵이 들어갔다. 싸잖아. 그렇게 지역에서는 자리를 잡았지만 전국구 진출은 그보다 한참 뒤였다. 전두환 정권이 들어서고 5.18을 유혈진압한 1년 뒤에 정부 주도로 국풍 81이란 대규모 문화 이벤트를 만드는데 각지의 먹을거리들도 여기에 판을 벌렸다. 이 행사에서 충무김밥이 대박을 치면서 단숨에 전국구 음식으로 발돋움한다.
통영에 가면 물론 여기저기에 충무김밥집이 자리를 잡고 있는데, 어느 집이 원조냐가 좀 모호하다. 원래는 강구안 여객터미널에 원조집이 있었는데 여객터미널이 없어져서 이사 가는 과정에서 세 명의 할머니가 각자 가게를 냈기 때문. 그런데 세 집 다 예전만 못하다는 소리를 듣고 있다. 어느 집이든 역사가 오래되고 대를 잇다 보면 듣는 소리이긴 하다. 옛날 거를 어디서 구해다가 비교 시식을 해 볼 수도 없는 일이고... 그래도 늘 드나들던 단골이라면 맛 변화를 알아차릴 수는 있을 것이다. 재료가 수입산이나 싸구려로 바뀌었다든지 할 수 있으니. 심지어 시간이 갈수록 오징어가 점점 줄고 어묵만 잔뜩 들어 있는데 가격은 계속 올라서 점점 욕을 먹고 있다.
다른 지역의 충무김밥
부산에 가도 충무김밥 파는 곳이 도처에 있다. 통영에서 가까워서 그런지 통영처럼 오징어무침에 부추와 어묵이 들어가 있다. 부산 이곳저곳에서 충무김밥 파는 곳은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고 은근 맛있는 집들도 많고, 지역 체인도 있다. 아예 남포동 세명약국 옆 골목은 충무김밥과 비빔당면을 주로 하는 노점들이 주욱 펼쳐져 있다.
서울 명동에도 충무김밥집이 있다. 꽤 인기가 있어서 명동을 대표하는 오랜 맛집 가운데 하나로 일본인 관광객의 모습도 종종 볼 수 있다. 원래는 두 업소가 경쟁하고 있었는데 한 곳만 살아남아서 명동 일대에 분점을 여러 개 냈다. 다만 통영 쪽 사람들은 이게 무슨 충무김밥이냐, 맛이 완전히 다르다고 불만이다. 통영 쪽 충무김밥은 오징어무침에 어묵과 부추가 들어가는데 명동의 충무김밥은 오로지 오징어 뿐이다. 그럼 이게 재료비가 더 비싼데. 그리고 통영보다 맛이 티나게 달다. 그런데 원래 어떤 지역에 뿌리 박은 음식이 다른 지역으로 가면 그 동네 입맛에 맞춰서 변하는 현상은 충무김밥만이 아니라 흔히 나타난다. 제일 불만은 더럽게 비싼 가격. 안 그래도 통영 충무김밥도 바가지 논란이 있는데 여긴 한술 더 뜬다. 2015년 기준으로 무려 7천원이니까, 통영 시세의 두 배다. 2019년에는 9천으로 또 올랐고, 2024년 초 기준으로는 11,000원으로 드디어 1만 원을 돌파했다. 성인 남자라면 1인분 가지고는 모자라고 2인분은 먹어야 양이 차는 사람들도 많기 때문에 거의 2만 원이 넘어가 버린다.
그나마 좋은 점이 있다면 오징어나 무김치를 넉넉하게 준다. 직원들이 돌아다니면서 반찬이 모자라는지 보고 알아서 더 준다. 사실 통영 충무김밥도 옛날에는 반찬을 넉넉하게 주었다고 한다. 김밥을 다 먹고도 남아서 싸가지고 가서 집 반찬으로 먹을 정도였다는데, 점점 줄더니 이제는 김밥 먹으면 딱 맞을 정도로만 준다. 게다가 통영이나 경남 일대의 충무김밥이 오징어는 점점 줄고 그 자리를 어묵이 차지해서 이제는 어묵김밥이나 마찬가지가 되어 버린 반면, 명동충무김밥은 비싸긴 하지만 여전히 어묵 없이 오징어만 사용한다. 다만 이제는 명동충무김밥도 오징어 반찬은 1회에 한해서만 무료로 리필해 주고, 두 번째부터는 2천 원을 받는다. 왠지 리필 한 번 안 받으면 손해 보는 기분이 든다. 같이 나오는 국물도 통영이나 부산 쪽은 시락국인 반면 여기는 멸치장국이다.
바가지 논란
아무튼 서울 명동은 물론이고 통영의 충무김밥도 지나치게 비싸다는 논란이 많다. 재료라고 할 것도 상당히 단촐한 편이다 보니, 갖가지 재료가 들어가는 5~6천 원짜리 모둠김밥과 비교해도 원가 대비 지나치게 바가지 아니냐는 논란이 많다. SBS에서 스브스뉴스를 통해 충무김밥이 비싼 이유에 관해 살펴보았는데[1], 가장 큰 이유는 인건비라고 한다. 일반 김밥은 김 전지 한 장에 밥과 재료를 올리고 한 번에 말아내지만 충무김밥은 작은 김밥을 일일이 말아서 내야 하므로 비쌀 수밖에 없다는 것,
하지만 설득력이 떨어지는 게, 일반 김밥이 알고 보면 오히려 손이 훨씬 많이 가고 난이도가 높다. 일반 김밥은 여러 가지 재료를 손질하서 데치고 볶고 한 다음 가지런히 정리해 놨다가 김에다가 밥을 펼치고, 속재료를 하나씩 차곡차곡 올리고, 크게 말아내야 하고 모양을 잡은 뒤에 칼로 썰어야 하는 여러 가지 단계를 거쳐야 한다. 자칫하면 김밥 옆구리 터지기 일쑤다. 물론 미리 만들어 놓은 다음 주문이 들어오면 썰어서 낼 수도 있지만 그거야 충무김밥도 마찬가지다. 충무김밥은 오징어무침과 섞박지를 미리 대량으로 만들어 놓을 수 있고,[2] 김밥 마는 과정은 속을 넣는 김밥보다 훨씬 단순하기 때문에 숙련된 사람은 금방금방 1인분을 말아낸다. 충무김밥 8개 마는 게 김밥 한 줄 마는 것에 비해서 엄청난 인건비가 들어가는 게 아니다. 게다가 요즘은 충무김밥 말아주는 기계까지 있어서 잘 팔리는 집은 아예 기계를 쓰기도 한다. 지하철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꼬마김밥의 경우, 충무김밥과 비슷한 굵기지만 속재료를 넣고 말아야 하므르 난이도가 좀 더 높다. 2024년 초 기준으로 하나에 2,000~2,500원 정도이므로 갯수로 따지면 충무김밥보다 비싸지만 길이가 더 길다. 섞박지나 오징어무침을 얼마나 맛나게 만드느냐만 관리한다면 만드는 데에는 오히려 손이 훨씬 덜 가는 게 충무김밥이다.
그래도 비싸네 어쩌네 해도 여전히 사먹는 사람들이 많고, 장사가 잘 된다는 건 어쨌거나 맛이 있기 때문에 그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찾는다는 뜻. 그리고 외국 음식은 더 비싼 것도 잘만 사먹으면서 충무김밥만 그러느냐는 반론도 가능하다. 웬만한 파스타 전문점에서 1만 원을 훌쩍 넘는 알료 에 올리오 파스타를 생각해 보자. 뭐가 들어가나? 스파게티, 올리브유, 마늘, 소금, 그 정도가 주 재료다. 원가로 따지면 충무김밥보다도 못할 수 있지만 만원 훌쩍 넘는 가격으로도 잘만 파는 곳들이 한두 군데인가?[3] 원가는 원가고, '맛'에 지불하는 가치도 인정할 필요는 있을 것이다. '김밥'이라는 이름 때문에 저렴한 음식이어야 한다는 이미지가 결부되긴 하지만 그래도 엄연히 하나의 명물 음식으로 특화된 만큼 분식집 김밥과 대접은 다를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에서 얘기했던 것처럼 가격은 일반 김밥을 훨씬 뛰어넘을 정도로 비싸졌는데 오징어는 찾아보기 힘들고 어묵이 채우고 있는 게 현재의 충무김밥이다. 그나마 어묵 안 쓰고 오징어만 쓴다는 명동충무김밥은 2024년 초 기준으로 1만원을 돌파했다. 재료는 점점 질이 떨어지는데 가격은 올리니까 바가지라고 욕을 먹을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