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와인: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유럽 와인으로는 프랑스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라이벌이라고 할 수 있다. 프랑스 와인이 전 세계적으로는 가장 이름을 떨치고 있지만 이탈리아 와인도 이에 꿀리지 않으며, 사실 역사로 보면 오히려 이탈리아 와인이 더 장대하다. 그도 그럴 것이, 가톨릭에서는 성찬의 포도주가 필수이기 때문에 교황이 있는 [[이탈리아]]에서 와인은 중요할 수밖에 없었고, 일찌감치 [[와인]]이 발달했다. [[프랑스 와인]]이 본격 발전한 것은 14세기에 교황이 [[아비뇽]]으로 도망 온, 이른바 '아비뇽 유수' 사건 이후였고 그 전에는 이탈리아 와인에 비하면 영 좋지 않았다. | 유럽 와인으로는 프랑스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라이벌이라고 할 수 있다. 프랑스 와인이 전 세계적으로는 가장 이름을 떨치고 있지만 이탈리아 와인도 이에 꿀리지 않으며, 사실 역사로 보면 오히려 이탈리아 와인이 더 장대하다. 그도 그럴 것이, 가톨릭에서는 성찬의 포도주가 필수이기 때문에 교황이 있는 [[이탈리아]]에서 와인은 중요할 수밖에 없었고, 일찌감치 [[와인]]이 발달했다. [[프랑스 와인]]이 본격 발전한 것은 14세기에 교황이 [[아비뇽]]으로 도망 온, 이른바 '아비뇽 유수' 사건 이후였고 그 전에는 이탈리아 와인에 비하면 영 좋지 않았다. | ||
가장 유명한 지역으로 양대 라이벌이라고 할 수 있는 곳은 본토 중부의 [[토스카나]]와 북쪽 꼭대기 [[피에몬테]]. [[토스카나]]는 [[ | 가장 유명한 지역으로 양대 라이벌이라고 할 수 있는 곳은 본토 중부의 [[토스카나]]와 북쪽 꼭대기 [[피에몬테]]. [[토스카나]]는 [[산죠베세]]와 이를 알이 크게 품종 개량한 [[브루넬로]]를 주종으로 하고 있고, 피에몬테는 뭐니뭐니해도 [[네비올로]]가 주종이다. [[토스카나]]는 프랑스 [[보르도]]의 주류 품종을 베이스로 한 [[수페르 토스카나]]가 오히려 전통적인 [[토스카나 와인]]을 쌈싸먹는 분위기로, 고급 [[와인]]은 [[수페르 토스카나]]와 [[브루넬로 디 몬탈치노]]가 라이벌로 겨루고 있다. 이탈리아 와인에 입문하는 분들이라면 [[레드 와인]]이라면 [[토스카나]]의 가장 대중적인 와인인 [[키안티]], [[화이트 와인]]이라면 달달한 [[모스카토]]일 것이다. | ||
[[프랑스]]의 AOC처럼 [[이탈리아]]도 지역 인증 제도가 있다. 아래의 네 단계로 나뉜다. | [[프랑스]]의 AOC처럼 [[이탈리아]]도 지역 인증 제도가 있다. 아래의 네 단계로 나뉜다. |
2021년 1월 16일 (토) 05:43 판
유럽 와인으로는 프랑스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라이벌이라고 할 수 있다. 프랑스 와인이 전 세계적으로는 가장 이름을 떨치고 있지만 이탈리아 와인도 이에 꿀리지 않으며, 사실 역사로 보면 오히려 이탈리아 와인이 더 장대하다. 그도 그럴 것이, 가톨릭에서는 성찬의 포도주가 필수이기 때문에 교황이 있는 이탈리아에서 와인은 중요할 수밖에 없었고, 일찌감치 와인이 발달했다. 프랑스 와인이 본격 발전한 것은 14세기에 교황이 아비뇽으로 도망 온, 이른바 '아비뇽 유수' 사건 이후였고 그 전에는 이탈리아 와인에 비하면 영 좋지 않았다.
가장 유명한 지역으로 양대 라이벌이라고 할 수 있는 곳은 본토 중부의 토스카나와 북쪽 꼭대기 피에몬테. 토스카나는 산죠베세와 이를 알이 크게 품종 개량한 브루넬로를 주종으로 하고 있고, 피에몬테는 뭐니뭐니해도 네비올로가 주종이다. 토스카나는 프랑스 보르도의 주류 품종을 베이스로 한 수페르 토스카나가 오히려 전통적인 토스카나 와인을 쌈싸먹는 분위기로, 고급 와인은 수페르 토스카나와 브루넬로 디 몬탈치노가 라이벌로 겨루고 있다. 이탈리아 와인에 입문하는 분들이라면 레드 와인이라면 토스카나의 가장 대중적인 와인인 키안티, 화이트 와인이라면 달달한 모스카토일 것이다.
프랑스의 AOC처럼 이탈리아도 지역 인증 제도가 있다. 아래의 네 단계로 나뉜다.
- IGT(Indicazione geografica tipica, 일반 지리적 표시) : 인증 규정이 가장 느슨해서 네 단계 중에는 가장 낮은 등급인데... 그렇다고 싸구려냐 하면 그 반대의 사례가 한둘이 아니다. DOC 계열들이 전통에만 집착한 까다로운 규정을 강요하다 보니 이러한 틀에서 벗어난 와인을 만드는 이들은 아예 IGT로 받아버린다. 그 대표 예가 이탈리아에서 가장 비싼 와인으로 손꼽히는 메를로 100%의 마세토 와인[1]. 이탈리아 포도 품종을 1%도 안 쓰는지라 규정에 안 맞아서 IGT로 들어간다. 이것 말고도 수페르 토스카나 와인 중에 IGT를 받은 게 꽤 있다.
- DO(Denominazione di Origine, 원산지 지정) : IGT보다는 좀더 강화된 규정을 적용한다. DO로 시작하는 세 가지 인증 가운데 가장 가장 널럴하지만 이 인증 와인은 별로 없다. 그냥 IGT 가는 게 나으니...
- DOC(Denominazione di Origine Controllata, 통제된 원산지 지정) : 가장 많이 받는 인증이다. 저렴한 와인도 많지만 가격의 톱을 찍는 쟁쟁한 와인들도 즐비하다. 일단 수페르 토스카나의 대표 주자인 사시카이아[2]가 DOC이고, 피에몬테 지역의 맹주인 가야의 이른바 '블랙 레이블' 시리즈들은 바르바레스코 하나 빼고는 DOC다. 사실 수페르 토스카나 중에는 원래는 IGT였지만 워낙에 명성을 날리다 보니 규정을 변경해서 DOC 인증을 주기도 한다.
- DOCG(Denominazione di Origine Controllata e Garantita, 통제 및 보증된 원산지 지정) : 가장 까다로운 인증이다. 품종이나 농사, 제조, 숙성에 이르기까지 전통을 고집한 까다로운 규정을 두고 있다. 그 때문에 일부 생산자들은 좀 더 나은 품질의 와인을 만들기 위해서 DOCG를 포기하기도 한다. 수페르 토스카나가 그 대표 사례이고, 피에몬테에서 가장 값비싼 와인을 줄줄이 내고 있는 가야(Gaja) 역시도 최상위 라인업에 속하는 블랙 라벨은 바르바레스코 하나 빼고는 DOC 인증이다. 바르바레스코와 바롤로[3]는 네비올로 품종 100%여야 한다는 규정이 있어서 바르베라를 약간 블렌딩한 와인들은 DOCG를 못 받는 것.
스파클링 와인 쪽으로도 한가닥 하고 있는데, 프랑스 다음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이탈리아어로는 스푸만테(spumante)라고 하는데, 스위트 와인 계열인 모스카토, 그리고 가성비가 좋은 놈들이 꽤 포진하고 있는 프로세코(Prosecco)가 있고, 많이 알려져 있지 않지만 고급 와인으로는 프란치아코르타(Franciacorta) DOCG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