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동: 두 판 사이의 차이
(→사라우동) |
(→카케우동)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8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일본]]의 면요리== | ==[[일본]]의 면요리== | ||
[[일본]]의 면요리의 일종. [[일본]] 면요리라면 [[라멘]], [[소바]]와 함께 가장 먼저 떠오르지만 [[라멘]]은 사실 [[중국]]에서 건너온 요리다. [[라멘]]을 [[츄우카소바]](중화소바)라는 이름으로 파는 가게도 많다. 반면 [[소바]]와 우동은 진짜 [[일본]] 거라고 볼 수 있다. 굳이 따지자면 어차피 [[국수]]라는 게 [[중국]]에서 시작되어 [[아시아]] 전역으로 퍼지고, [[유럽]]까지 건너가서 [[이탈리아]] [[파스타]] 문화가 꽃피었으니 우동도 결국은 [[중국]]에서 건너온 면요리의 일종으로 볼 수 있지만 아주 오래 전 이야기니 [[중국요리]]라 보기에는 무리다. | [[일본]]의 면요리의 일종. [[일본]] 면요리라면 [[라멘]], [[소바]]와 함께 가장 먼저 떠오르지만 [[라멘]]은 사실 [[중국]]에서 건너온 요리다. [[라멘]]을 [[츄우카소바]](중화소바)라는 이름으로 파는 가게도 많다. 반면 [[소바]]와 우동은 진짜 [[일본]] 거라고 볼 수 있다. 굳이 따지자면 어차피 [[국수]]라는 게 [[중국]]에서 시작되어 [[아시아]] 전역으로 퍼지고, [[유럽]]까지 건너가서 [[이탈리아]] [[파스타]] 문화가 꽃피었으니 우동도 결국은 [[중국]]에서 건너온 면요리의 일종으로 볼 수 있지만 아주 오래 전 이야기니 [[중국요리]]라 보기에는 무리다. 그렇게 따지면 모든 국수 요리가 [[중국음식]]이라는 건데 너무 많이 나간 얘기다. [[라멘]]의 경우에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걸쳐서 일본으로 건너가서 발전했기 때문에 역사가 짧은 편이라 [[중화요리]]로 보는 것이다. | ||
우동이 | 우동의 유래에 관해서는 가장 오래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주장은 8세기 후반의 승려인 쿠카이(空海) 유래설로, 중국으로 공부하러 갔다가 돌아오면서 국수 제조법을 가져와서 사누키(지금의 카가와 현)에 전파시켰다는 것이다. 여기에 대해서는 반론이 있는데, 쿠카이가 살았던 헤이안시대에는 우동에 필수인 밀과 소금이 일본에 거의 없었다는 것이다. 즉 재료가 없었는데 무슨 우동이 존재했겠냐는 것이다. 일본에서 맷돌이 보급되어 곡식을 가루낼 수 있게 된 것은 무로마치시대에 와서이고, 소금을 충분히 생산하게 된 것은 에도시대까지는 와야 하므로 그 이전에 우동이 있었다는 것은 신빙성이 떨어진다는 것이 반론의 근거다. 사누키보다는 나라 혹은 [[나가사키]] 쪽을 우동의 발상지로 보는 시각도 많다. [[나가사키]]만큼이나 중국과 교류가 활발했던 [[후쿠오카]]도 자기들이 우동의 원조라고 주장한다.<ref>[[후쿠오카]]를 대표하는 [[국수]] 요리라면 보통 [[하카타라멘]]을 떠올리지만 [[후쿠오카]] 현지인들 중에는 '[[후쿠오카]]는 [[라멘]]보다 우동이야'라고 생각하는 이들도 많고, 우동 가게도 많이 볼 수 있다.</ref> | ||
[[ | 한편 한국의 [[칼국수]]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는데, 사누키우동 제조업체인 사누키멘키의 오카하라 유지 회장이 2020년 1월에 펴낸 책인 <후에키류코(不易流行)>에서 이러한 주장을 하고 있다.<ref>[https://news.v.daum.net/v/20200424002035752 "日 최대 제면기업체 대표 "한국 칼국수, 우동의 원조""], KBS, 2020년 4월 24일.</ref> 무로마치시대에서 에도시대에 걸쳐서 조선의 [[칼국수]]가 일본으로 건너와서 우동으로 발전했다는 게 오카하라 회장의 주장이다. 대략 이 때 칼국수가 소개된 것은 맞는 것으로 보이며, 맷돌이 보급된 것도 대략 이 시기 전후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 앞뒤가 맞기는 하지만 확실한 증거는 없다. 물론 일본에서는 주류 대접은 못 받고 있는 주장이다. | ||
이 일본식 우동이 한국으로 건너와서 [[가락국수]]로 정착했다. 우리나라의 [[중국집]] 우동은 일본 우동이 아니라 [[나가사키 짬뽕]] 쪽에 가깝다. | |||
[[밀가루]]와 [[물]], [[소금]]만 가지고 반죽한 굵고 탄력있는 면발이 특징이다.<ref>단, 이건 사누키 쪽 중심이고 큐슈 쪽은 쫄깃한 탄력은 적은 대신 아주 부드러운 맛을 특징으로 한다.</ref> [[간사이]]와 [[시코쿠]], 그리고 [[큐슈]]에 걸치는 서일본 지방을 중심으로 발달했다. 그 중 사누키 (지금의 카가와 현) 우동이 가장 유명한데 우동에 필요한 [[밀]]과 [[소금]], [[물]]이 모두 질이 좋았기 때문이라고. 카가와현을 우동현이라고 할 정도로 이 동네가 유명한데, 실제로 인구 당 우동 가게의 수나 1인당 우동 소비량에서 [[일본]] 내 압도적인 1위를 줄기차게 차지하고 있다. 심지어 [[카가와현]] 정부에서도 스스로 우동현이라는 이름을 열심히 홍보하고 있다. 오죽하면 현 지사가 우정국을 찾아가서 '우동현'으로 오는 우편물을 모두 [[카가와현]]으로 처리해 달라고 요청할 정도일까... 실제로 우동현으로 주소를 쓰면 [[카가와현]]으로 잘 간다고 하는 체험기들도 있다. <del>부산 해운대구에는 아예 우동이 있다!</del> [[오사카]] 쪽도 우동이 인기가 많은 편이고 [[라멘]] 쪽으로는 별로 명성이 높지 않다. [[후쿠오카]] 역시 [[하카타라멘]]이 워낙 유명해서 그렇지, 우동 역시 잘 하며 역사도 깊다. 외래 문물이라면 이쪽이 더 빨리 들어오기 때문에 카가와현보다 [[후쿠오카현]]이 오히려 중국식 국수 문화가 먼저 들어왔다고 한다.<ref>그럴 수밖에 없는 게 중국에서 가장 가까운 곳이 [[큐슈]]이고, [[후쿠오카]]는 일찌기 당나라와 무역을 많이 했다. [[후쿠오카현]] 서쪽에 있는 [[카라츠시]]는 도시 이름이 아예 唐津, 즉 당나라와 무역했던 나루터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ref> | |||
자가제면으로 우동, 혹은 | 국물 문화가 발달한 한국 사람들은 국물을 중시한다. 굵은 면발을 우동 국물, 즉 [[가쓰오부시]] 국물에 말아서 먹는 것이 우동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일본]]에서 우동이라고 하면 면의 종류에 관한 문제고 국물의 종류는 다양하다. 물론 우리가 잘 아는 [[가쓰오부시]] 국물에 말아내는 카케우동이 가장 기본인 건 맞지만 배리에이션이 정말 다양하다. 아예 국물 없이 간장 찍어먹는 가마아게 우동이나 진한 국물을 자작하게 부어서 비비듯이 먹는 붓카케 우동, [[카레]] 우동도 인기가 많다. 우리나라에도 진출한 바 있는 [[일본]] 최대의 사누키 우동 체인점인 마루가메제면도 이름과 함께 간판에 써놓은 게 가마아게 우동. 한마디로 자기들 주력 메뉴는 그거란 소리다. | ||
제품으로 팔리는 것들은 건면과 생면, 반생면과 냉동면이 있지만 건면은 거의 보기 어렵고 생면과 냉동면이 압도적이다. 보통 우동 정도 두께가 되는 것을 건면으로 만들기가 무척 어렵다. 진공포장한 생면은 미리 삶아서 포장한 것으로 상온 보관이 가능하지만 면발의 탄력이 떨어지고 툭툭 끊어지는 느낌이다. 삶지 않은 생면이나 반생면은 직접 삶아야 하며 조리시간이 10분을 넘는다. 대신 조리법만 잘 지키면 우동 식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다. 반생면의 보존기간이 더 길기 때문에 며칠 안에 바로 먹을 게 아니면 반생면을 사는 게 낫다. 냉동면은 보관이 좀 불편하긴 하지만 면발의 탄력이 꽤 좋고 쫄깃한 맛도 살아 있어서 기왕이면 냉동면 쪽이 좋다. 일본에서도 면을 직접 만들지 않는 우동집에서는 냉동면을 많이 쓴다. 생면이든 냉동면이든 미리 익힌 것이라 오래 끓일 필요 없이 뜨거운 물에 잠깐 삶아서 따뜻하게만 해 주면 된다. | |||
자가제면으로 우동, 혹은 [[소바]]를 직접 뽑아내는 집이 아니라면 높은 확률로 같은 음식을 면만 우동과 [[소바]] 중에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일본에서는 우동과 [[소바]]의 호환성이 높아서 비슷한 스타일에 면만 우동이냐 [[소바]]냐, 이렇게 갈 수 있다. | |||
우리나라는 많이 없어졌지만 지금도 [[일본]]의 기차역 플랫폼에는 우동집이 꽤 있는 편이고 몇몇 명물 우동도 있다. | 우리나라는 많이 없어졌지만 지금도 [[일본]]의 기차역 플랫폼에는 우동집이 꽤 있는 편이고 몇몇 명물 우동도 있다. | ||
21번째 줄: | 25번째 줄: | ||
[[일본]] 대부분 지역에서 인기가 있고, 지역별로 갖가지 우동이 나오기 때문에 그야말로 수없이 많다고 볼 수 있지만 공통으로 널리 먹는 것들을 중심으로 다룬다. | [[일본]] 대부분 지역에서 인기가 있고, 지역별로 갖가지 우동이 나오기 때문에 그야말로 수없이 많다고 볼 수 있지만 공통으로 널리 먹는 것들을 중심으로 다룬다. | ||
====카케우동==== | |||
가장 간단하고 기본형이라고 할 수 있는 우동. 우리가 아는 딱 그 우동 스타일이다. 따끈한 [[가쓰오부시]] 국물에 우동을 말아서 낸다. ‘카케‘라는 말도 밥이나 [[국수]] 같은 것을 국물에 ‘말다‘ 혹은 ‘빠뜨리다‘는 뜻인 카케루(掛ける)에서 온 것이다. 아예 건더기가 없거나 잘게 썬 파, 텐카스<ref>자잘한 알갱이같은 [[밀가루]] [[튀김]].</ref> 같은 고명이 들어간다. | |||
[[파일:Niku udon.jpg| | |||
====츠키미우동==== | |||
익히지 않은 [[달걀]] 노른자를 고명으로 올린 우동. 노른자의 노랗고 동그란 모양이 달을 닮았다고 해서 달맞이를 뜻하는 '[[츠키미]](月見)'라는 이름을 쓴다. | |||
====키츠네우동==== | |||
[[파일:Kitsune udon.jpg|upright 1.5|섬네일|없음]] | |||
달달한 장국에 담근 큼직한 [[유부]]를 올리는 우동. '키츠네(きつね)'란 여우를 뜻하는데, 여우가 [[유부]]를 좋아한다는 속설에서 나온 이름이다. [[일본]]에는 [[컵라면]] 버전으로도 흔히 볼 수 있다. 언제 만들어진 것인지는 에도시대부터 메이지시대까지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일단 [[오사카]]에서 처음 등장했다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 |||
====타누키우동==== | |||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고명으로 [[텐푸라]]의 부산물인 [[텐카스]](天かす)를 넉넉히 얹은 우동을 뜻한다. '타누키(たぬき, 狸)'는 너구리를 뜻하는 말인데, 그래서 여우를 뜻하는 '키츠네'우동과 엮어서도 생각하지만 실제 어원은 너구리와는 관계가 없다. 어원 관련 설은 몇 가지가 있지만 대체로 고명으로 얹는 [[아게다마]](揚げ玉) 혹은 [[텐카스]]에서 온 말인 것은 분명해 보인다. 다만 타누키=너구리가 워낙 친숙한 단어다 보니, 그냥 狸うどん이라고 쓰기도 한다. | |||
====[[텐푸라]]우동==== | |||
[[파일:Udon with chikuwa tempura.jpg|upright 1.5|섬네일|없음|일본식 [[어묵]]인 [[치쿠와]] [[튀김]]을 얹은 [[텐푸라]]우동.]] | |||
우동에 [[텐푸라]]를 얹은 것.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역시 가장 인기가 높은 <del>그리고 비싼</del> 건 [[새우]] [[텐푸라]]. 한때 우리나라에도 들어왔던 마루가메제면처럼 우동과 함께 여러 가지 [[텐푸라]]를 알아서 선택할 수 있는 스타일의 우동집도 많다. 사누키우동의 본진인 카가와현에 이런 방식으로 영업하는 가게들이 많다. | |||
====니쿠우동==== | |||
[[파일:Niku udon.jpg|upright 1.5|섬네일|없음]] | |||
우동 위에 볶은 고기를 올리는 우동. [[소고기]]를 많이 쓰지만 [[돼지고기]]를 쓰는 집들도 있다. 이 경우는 부타니쿠우동이라고 따로 부르기도 한다. [[규동]]과 비슷하게 달달한 양념으로 볶아낸 고기를 올리기 때문 [[규동]]의 우동판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는 그닥 친숙하지 않지만 [[일본]]에서는 아주 인기 있는 우동 중 하나라서 우동 전문점에는 거의 메뉴에 들어 있다. 고기가 들어 있기 때문에 이것만 먹어도 한끼로 꽤 든든하다. | |||
====자루우동==== | |||
우동을 찬물에 식혀서 진한 [[가쓰오부시]] 국물을 따로 내는 우동. 우리가 아주 잘 아는 [[소바]] 형태인 자루[[소바]]의 우동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 |||
====카마아게우동==== | |||
[[파일:Kamaage udon.jpg|upright 1.5|섬네일|없음]] | |||
삶은 우동을 뜨거운 물에 담근 채로 내는 우동. 자루우동처럼 [[가쓰오부시]] 국물에 찍어먹는 스타일로, 자루우동은 면을 차갑게 식히는 것과는 달리 면과 국물 모두 따뜻하다. | |||
====[[카레]]우동==== | |||
[[파일:Curry udon.jpg|upright 1.5|섬네일|없음]] | |||
말 그대로 [[카레]] 국물에 말아낸 우동. [[카레]] 요리가 발달한 [[일본]]답게 웬만한 우동집에는 거의 필수 수준으로 카레우동이 있다. 여기에 [[고기]]를 넣은 카레니쿠우동도 인기가 많다. 원래 [[카레라이스]]에 고기 건더기가 들어가니 익숙할 수밖에 없다. [[카레라이스]]와는 만드는 방법이 약간 달라서 조금 덜 걸쭉하게 만들고 [[카레]] 육수로 [[가쓰오부시]] 베이스를 사용하는 집이 많다. | |||
===지역 명물 우동=== | ===지역 명물 우동=== | ||
==== | ====고보텐우동==== | ||
[[파일:Gobouten udon.jpg|upright 1.5|섬네일|없음]] | |||
==== | 우동에 우엉 튀김인 고보텐을 얹은 것. 그냥 텐푸라우동의 일종이지만 [[후쿠오카]] 일대에서 유난히 인기가 많아서 후쿠오카음식으로 통한다. 특히 후쿠오카 출신 유명 게닌인 타모리가 좋아해서 방송에서도 여러 번 추천한 적이 있어서 인지도가 많이 올라갔다. 보통은 조금 굵은 정도로 채썬 우엉에 튀김옷을 묻혀서 튀기는 식이지만 가게에 따라서 스타일이 다양해서, 아예 우동 그릇 위에 걸칠 수 있을 정도로 긴 고보텐을 내는 곳도 있다. 여기에 다른 고명을 얹은 고보텐니쿠우동 같은 변형들도 여럿 존재한다. | ||
====돈코츠우동==== | |||
[[후쿠오카현]]의 명물인 [[돈코츠라멘]]에서 [[라멘]]을 우동으로 바꾼 버전으로 보면 된다. 그런데 막상 음식점에서 보기는 힘들고, 간편식이나 인스턴트로 나와 있는 것들은 좀 있고, 우동 체인점인 마루가메제면에서도 팔고 있다. 마루가메제면이 한국에서 영업할 당시에 우리나라에서도 맛볼 수 있었다. | |||
====마루텐우동==== | ====마루텐우동==== | ||
마루텐(丸天)은 이름으로 해석해 보면 동그란 [[텐푸라]]라는 뜻이다. 이름처럼 큼직하고 동그란 [[튀김]] [[어묵]]을 위에 얹어주는 우동으로 [[후쿠오카]]의 명물이다. 얼핏 보면 [[우동#키츠네우동|키츠네우동]]처럼 보일 수도 있다. 몇몇 가게는 아예 그릇 크기만하게 위를 뒤덮는 [[크고 아름다운]] [[어묵]]을 얹어주기도 한다. 참고로 일본 전체로 보면 [[ | [[파일:Maruten udon.jpg|upright 1.5|섬네일|없음]] | ||
마루텐(丸天)은 이름으로 해석해 보면 동그란 [[텐푸라]]라는 뜻이다. 이름처럼 큼직하고 동그란 [[튀김]] [[어묵]]을 위에 얹어주는 우동으로 [[후쿠오카]]의 명물이다. 얼핏 보면 큼직한 유부를 얹어주는 [[우동#키츠네우동|키츠네우동]]처럼 보일 수도 있다. 몇몇 가게는 아예 그릇 크기만하게 위를 뒤덮는 [[크고 아름다운]] [[어묵]]을 얹어주기도 한다. 참고로 일본 전체로 보면 [[텐푸라]]는 튀겨 만든 [[어묵]]이 아니라 [[새우]]와 같은 각종 재료에 [[튀김옷]]을 입혀 튀겨낸 것을 두루 뜻하지만 [[후쿠오카]] 일대에서는 일본식 [[튀김]]과 튀겨 만든 [[어묵]]을 모두 텐푸라라고 부르는데, 우리나라에서 예전에 [[어묵]]을 [[덴뿌라]]라고 부른 것도 여기서 기인했을 가능성이 있다. | |||
====미미우동==== | |||
耳うどん. 즉 '귀'우동이다. 실제로 [[밀가루]] 반죽을 귀를 닮은 모양으로 만들어서 만드는 우동이다. 우리가 보기에는 우동보다는 [[수제비]]에 가깝다고 할 수 있는 음식. [[토치기현]] 사노시의 명물 음식이다. 귀 모양 우동은 악한 신의 귀를 상징하며, 악신의 귀를 먹음으로써 집안의 이야기를 나쁜 신이 듣지 못하게 한다는 의미가 있다. | |||
====[[미소니코미우동]]==== | |||
[[파일:Misonikomiudon Yamamotoyahonten.JPG|upright 1.5|섬네일|없음|[[일본]] [[나고야]] <야마모토야혼텐>의 [[미소니코미우동]].]] | |||
[[나고야메시]]의 하나로 [[나고야]]의 명물인 [[아카미소]]를 사용해서 진하고 <del>겁나 짠</del> 국물에 우동과 여러 가지 재료를 냄비에 넣고 푹 끓인 것. 담백한 [[가쓰오부시]] 국물과는 아득히 먼, 굉장히 진한 일본 된장 맛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미소니코미우동]] 항목 참조. | |||
====붓카케우동==== | |||
[[파일:Bukkake udon.jpg|upright 1.5|섬네일|없음|[[쿠라시키]]식 붓카케우동.]] | |||
우동에 진한 국물을 '뿌려서' 먹는 요리. [[오카야마현]]과 [[카가와현]]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오카야마현]]의 [[쿠라시키시]]에서 고장을 대표하는 요리 중 하나로 적극 밀고 있다. 아예 쿠라시키우동(倉敷うどん)이라는 이름으로 열심히 홍보하고 있다. 오카야마 일대는 물론 일본 전역의 우동집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 |||
우동에 갈은 무를 넣고 자작하게 국물을 뿌린다. 위에는 메추리알 노른자를 올리는데, 먹기 전에 노른자를 터뜨리고 국물과 면을 잘 섞어준다. 쿠라시키우동은 냉우동과 온우동을 선택할 수 있고, 국물을 미리 부어서 내며, 생강을 넉넉하게 넣기 때문에 생강향이 강하게 나는 편이다.<ref>카마아게우동도 장국에 갈은 생강을 취향껏 넣어서 찍어 먹는다.</ref> | |||
다른 지역으로 가면 스타일이 조금 달라지는데, 온우동은 보기 힘들고 대체로 냉우동이다. 국물을 따로 줘서 손님이 직접 뿌려 먹게 하는 가게도 많다. 이럴 때에는 비비지 않고 국물을 뿌린 후 그대로 먹는다. | |||
<del>우리에게는 이름 때문에 쓸데 없이 야릇한 느낌을 준다.</del> | |||
====[[사라우동]]==== | |||
[[파일:Sara udon.jpg|upright 1.5|섬네일|없음]] | |||
皿うどん. 여기서 '사라'는 접시를 뜻한다. 높이가 낮은 그릇에 담겨 나오기 때문. [[나가사키 짬뽕]]과 함께 [[나가사키]]의 지역 요리로 잘 알려져 있다. 면을 튀긴 다음 건더기와 함께 볶아낸 걸쭉한 국물을 부어서 먹는 요리. 사실 '우동'의 원래 뜻과는 다른 요리인데, 사용하는 [[국수]]가 우동이 아니라 중국식 볶음면인 [[차오몐]]에 쓰이는 두툼한 [[중화면]]혹은 이보다도 좀 더 가는 면을 사용한다. 그래서 과연 우동으로 분류해도 되는 건지도 애매한 [[중국집|중화요리]]다. 더 자세한 내용은 [[사라우동]] 항목 참조. | |||
====이세우동==== | |||
이름처럼 이세를 중심으로 [[미에현]] 쪽에서 많이 먹는 우동. 우동 [[국수]]가 보통 우동보다도 더 굵으며 국물이 자작하고 진하다. 겉모습만 보면 꼭 [[짜장면]]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쪽 동네가 [[아카미소]]를 많이 먹는데, 이 과정에서 만들어내는 진한 [[타마린간장]]이 [[가쓰오부시]]와 함께 국물의 베이스가 된다. | |||
====카시와우동==== | ====[[카시와우동]]==== | ||
[[파일:Kashiwa udon tosu eki chyuouken.jpg|upright 1.5|섬네일|없음]] | |||
かしわうどん. | かしわうどん. | ||
'카시와'라는 것은 [[닭고기]]를 뜻하는데, [[하카타]] 일대 | '카시와'라는 것은 [[닭고기]]를 뜻하는데, [[하카타]] 일대 북[[큐슈]] 쪽에서는 [[닭고기]]를 잘게 찢어 놓은 것을 쓰이는 말이다. 잘게 썰거나 찢어서 조린 [[닭고기]]를 고명으로 얹어 주는 우동으로, 일종의 니쿠우동이라고 할 수 있다. 먹어 보면 [[닭고기]]라기보다는 꼭 [[참치]] [[통조림]]과 식감이 비슷한데, 닭가슴살을 쓰기 때문으로 보인다. 큐슈 북부의 몇몇 기차역 플랫폼에서 파는 [[카시와우동]]이 명물로 통한다. 자세한 내용은 [[카시와우동]] 항목 참조. | ||
====[[카스우동]]==== | |||
[[파일: | [[파일:Kasuudon.jpg|upright 1.5|섬네일|없음]] | ||
[[오사카]]를 중심으로 한 킨키지방 쪽에서 주로 먹다가 점점 다른 지역으로도 알려지고 있는 우동이다. '카스'는 아부라카스(油かす), 즉 소의 내장, 특히 작은 창자 부위를 잘게 썬 다음 낮은 온도의 기름에서 시간을 두고 천천히 튀겨내어 여분의 기름을 뺀 다음 말린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카스우동]] 항목 참조. | |||
===한국에서=== | ===한국에서=== | ||
우리나라에도 일본 '정통' 우동 전문점을 표방하는 음식점들이 수십년 전부터 있었다. 80년대 초반에는 압구정동의 이른바 오렌지족 붐을 타고 [[일본]]에서 기코망 간장이나 주요 식자재를 공수해서 만드는 [[일본]] 우동 전문점들이 강남에 몇 곳 생겼는데, 그 중 <사가에>라는 우동 전문점은 부유층들의 사치스러운 소비 문화를 상징하는 | 우리나라에도 우동이 들어와 있지만 한국인의 입맛과 재료, 주머니 사정에 따라 변형되어 일본과는 상당히 다른 국수 요리가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가락국수]] 항목 참조. | ||
하지만 일본 '정통' 우동 전문점을 표방하는 음식점들이 수십년 전부터 있었다. 80년대 초반에는 압구정동의 이른바 오렌지족 붐을 타고 [[일본]]에서 기코망 간장이나 주요 식자재를 공수해서 만드는 [[일본]] 우동 전문점들이 강남에 몇 곳 생겼는데, 그 중 <사가에>라는 우동 전문점은 부유층들의 사치스러운 소비 문화를 상징하는 곳으로 언론에 보도되는 바람에 호된 비난을 받았고, 일본에서 불법으로 재료를 가져온, 즉 밀수를 이유로 대표가 구속되기까지 하면서<ref>"「만원짜리 日本우동」拘束", 조선일보, 1985년 4월 2일.</ref><ref><사가에>는 한국인 아내와 재일교포 남편 부부가 운영하던 곳으로, 남편이 주로 휴대품으로 밀반입을 했다고 한다. 휴대품으로 재료를 사가지고 오는 것 자체는 육류 같은 반입 금지품목이 아닌 한은 밀수가 아니지만 정식 수입신고를 하지 않은 수입 식재료로 음식을 만들어 파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불법이다. 식품 안전과도 관계가 있는 문제이기 때문이다.</ref> 문을 닫고 말았다. 1985년 당시 우동이 한 그릇에 3천원, 특우동 6천원, 우동스키가 1만2천원이었으니 당시 서울의 짜장면 한 그릇 평균 가격이 616원이었던 물가를 생각하면 비싸긴 비쌌다. | |||
한국의 일본식 우동은 사실 | 한국의 일본식 우동은 사실 [[일본]]과는 맛이 확실히 달랐다. 우리나라의 우동 국물은 [[간장]]과 [[설탕]]을 많이 넣어서 국물 색깔이 짙고 단맛이 나는 편이다. 반면 일본의 [[가쓰오부시]] 우동 국물은 색깔이 옅고 단맛이 별로 없다. 간토지방 쪽은 [[간장]]을 주로 써서 색깔이 짙은 편인데 그래도 우리나라보다는 옅은 편이다. 간사이 쪽은 [[간장]]을 아예 혹은 거의 안 쓰고 [[소금]]으로 간을 하기 때문에 정말 멀건 느낌이다. 간도 우리나라보다는 짠 편. [[간장]]향은 옅은 대신 [[가쓰오부시]] 특유의 [[훈제]]향이 퍼져 나온다. 그래서 [[한국]]에서 우동 먹던 사람들이 [[일본]]에 가서 우동을 먹거나 진짜 [[일본]]인이 하는 제대로 된 [[일본]] 스타일 우동을 먹으면 이게 뭐냐 싶어서 뜨악해 했다. | ||
이제는 [[일본]]인이 운영하는 우동집도 이곳 저곳에 생겼고, [[일본]]에서 제대로 배우고 온 사람들이 하는 우동집도 있고 해서 한국 사람들도 [[일본]] 스타일에 많이 익숙해져 있다. 우동은 당연히 [[가쓰오부시]] 국물이라고 생각했던 통념도 | 이제는 [[일본]]인이 운영하는 우동집도 이곳 저곳에 생겼고, [[일본]]에서 제대로 배우고 온 사람들이 하는 우동집도 있고 해서 한국 사람들도 [[일본]] 스타일에 많이 익숙해져 있다. 우동은 당연히 [[가쓰오부시]] 국물이라고 생각했던 통념도 카레우동, 가마아게우동, 붓카케우동 같은 다양한 스타일이 소개되면서 조금씩 약해져 가는 중. 심지어는 [[일본]] 최대의 [[사누키]] 우동 체인인 마루가메제면이 한국에 진출했다. 매장에서 직접 면을 만드는 '자가제면'을 내세우면서 점포 수를 꽤 늘렸다.<ref>우리나라에 진출한 일본 음식점 체인은 여럿 있지만 일식의 인기와는 별개로 의의로 많이 사업에 실패하고 철수했다. 가격 문제라든가 한국인 입맛과는 다른 낯선 느낌과 같은 것들을 실패 원인으로 볼 수 있다.</ref> 그러나 일본불매운동의 여파에 코로나-19 대유행 사태까지 겹쳐서인지 2021년 8월 15일에 한국 시장에서 철수했다.<ref>[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1082619310002830 "광복절에 한국서 사업 접은 日 우동 체인점... 누리꾼들 "아이러니""], 한국일보, 2021년 8월 27일.</ref> <del>날짜가 참으로 절묘하다.</del> 마루가메제면의 일부 지점들은 상호를 바꾸고 독자 영업에 나섰다. | ||
한편 [[전골]] 요리의 [[사리]]로는 많이 쓰이고 있다. [[라면]][[사리]]가 가장 인기가 높긴 하지만 [[라면]]이 안 맞는 [[전골]] 요리도 있기 때문에 이런 곳에서는 [[칼국수]]나 우동사리를 많이 사용한다. 생면 상태일 때 넣으면 밀가루 때문에 국물이 뿌옇게 되어 버리므로 한 번 삶아서 넣어야 한다. | |||
==한국의 [[중화요리]]== | ==한국의 [[중화요리]]== | ||
[[파일:Jeju lizang chinese udon.jpg| | [[파일:Jeju lizang chinese udon.jpg|upright 1.5|없음|섬네일|[[제주시]] 중화요리점 <리장>의 우동]] | ||
한국의 [[중화요리]] 가운데 하나. [[일본]]의 우동보다는 오히려 [[나가사키 짬뽕]]에서 왔다고 보는 게 맞다. 돼지뼈나 닭뼈 국물로 [[육수]]를 내고 여기에 고기와 채소, 해산물을 넣어 끓여낸다. [[달걀]]을 풀어 익혀서 내는 가게도 많다. [[나가사키 짬뽕]]이 한국으로 건너와 매운 것 좋아하는 한국인들 취향에 맞춰서 빨간 국물로 발전시킨 [[짬뽕]]이 탄생하고, 하얀 국물의 백짬뽕은 우동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여기에 물[[녹말]]을 넣어서 국물을 좀더 걸쭉하게 만들면 [[울면]]이 된다. [[백짬뽕]]과 우동을 별로 구분을 안 하는 분위기지만, 조리법을 엄밀하게 구분하는 경우도 있으며, [[짬뽕]]은 재료를 웍에 볶아 가면서 [[육수]]를 조금씩 부어가는 식으로 조리해서 불맛을 강조한다면 우동은 재료를 [[육수]]에 넣고 푹 끓여서 국물의 깊은 맛을 강조하는 차이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 [[중국집]]에서는 별로 구분을 안 하며 [[백짬뽕]] 식으로 만들면서 우동으로 내놓는 곳도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 싸구려 [[중국집]]들은 재료를 잔뜩 볶고 [[육수]]를 부어 큰 통에 끓이면서 주문이 오면 바로바로 국물을 부어서 내는 식이라서 더 그렇다. | |||
예전에는 [[중국집]]에 [[짬뽕]]이 있으면 라이벌격으로 당연히 우동이 있었지만 요즘은 우동이나 [[울면]]을 메뉴에 올린 [[중국집]]이 많이 줄었다. 사실 1970년대만 해도 [[짜장면]]의 라이벌은 [[짬뽕]]이 아닌 우동이었다. 그 당시는 [[짜장면]]과 우동은 가격이 같았지만 [[짬뽕]]은 그보다 비쌌기 때문에 한 푼이 아쉬웠던 시절에 우동이 더 인기가 좋았던 건 어찌 보면 당연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짬뽕]]의 인기가 올라가는 반면 우동은 가라앉았다. [[짬뽕]]이야 재료가 좀 시들시들해도 매운 맛으로 어느 정도 잡맛을 억누를 수 있지만 우동은 그런 수법이 통할 수 없다 보니 재료나 맛내기나 좀더 신경을 써야 하는데, 매운 맛 좋아하는 한국사람 특성 때문에 점점 [[짬뽕]]에 밀리다 보니 굳이 메뉴에 놔둘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 듯하다. 또한 경제가 발전하고 사람들의 주머니가 두툼해지면서 우동과 짬뽕 가격의 차이도 그리 걸림돌이 안 되었고, 당연히 [[중국집]] 입장에서는 돈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는 [[짬뽕]]을 선호하게 마련이다. 게다가 [[일본음식]]들이 조금씩 다양화 되어가고, 특히 [[삼양식품]]에서 [[삼양 나가사끼짬뽕|한때 히트를 쳤던 라면]] 덕분에 [[나가사키 짬뽕]]의 인지도도 많이 올라간지라, [[중국집]] 우동은 이래저래 모호한 처지가 되었다. | |||
그래도 우동을 자랑스럽게 메뉴에 올린 [[중국집]]이 있다면 한 번쯤 먹어보자. 먹었을 때 재료가 신선하지 않다는 느낌이 든다면 그 집 [[짬뽕]]도 마찬가지다. 요즈음 [[중국집]] 우동 가격은 [[짬뽕]]에 맞춰져 있다. | |||
{{각주}} | {{각주}} |
2024년 11월 10일 (일) 04:58 기준 최신판
일본의 면요리
일본의 면요리의 일종. 일본 면요리라면 라멘, 소바와 함께 가장 먼저 떠오르지만 라멘은 사실 중국에서 건너온 요리다. 라멘을 츄우카소바(중화소바)라는 이름으로 파는 가게도 많다. 반면 소바와 우동은 진짜 일본 거라고 볼 수 있다. 굳이 따지자면 어차피 국수라는 게 중국에서 시작되어 아시아 전역으로 퍼지고, 유럽까지 건너가서 이탈리아 파스타 문화가 꽃피었으니 우동도 결국은 중국에서 건너온 면요리의 일종으로 볼 수 있지만 아주 오래 전 이야기니 중국요리라 보기에는 무리다. 그렇게 따지면 모든 국수 요리가 중국음식이라는 건데 너무 많이 나간 얘기다. 라멘의 경우에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걸쳐서 일본으로 건너가서 발전했기 때문에 역사가 짧은 편이라 중화요리로 보는 것이다.
우동의 유래에 관해서는 가장 오래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주장은 8세기 후반의 승려인 쿠카이(空海) 유래설로, 중국으로 공부하러 갔다가 돌아오면서 국수 제조법을 가져와서 사누키(지금의 카가와 현)에 전파시켰다는 것이다. 여기에 대해서는 반론이 있는데, 쿠카이가 살았던 헤이안시대에는 우동에 필수인 밀과 소금이 일본에 거의 없었다는 것이다. 즉 재료가 없었는데 무슨 우동이 존재했겠냐는 것이다. 일본에서 맷돌이 보급되어 곡식을 가루낼 수 있게 된 것은 무로마치시대에 와서이고, 소금을 충분히 생산하게 된 것은 에도시대까지는 와야 하므로 그 이전에 우동이 있었다는 것은 신빙성이 떨어진다는 것이 반론의 근거다. 사누키보다는 나라 혹은 나가사키 쪽을 우동의 발상지로 보는 시각도 많다. 나가사키만큼이나 중국과 교류가 활발했던 후쿠오카도 자기들이 우동의 원조라고 주장한다.[1]
한편 한국의 칼국수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는데, 사누키우동 제조업체인 사누키멘키의 오카하라 유지 회장이 2020년 1월에 펴낸 책인 <후에키류코(不易流行)>에서 이러한 주장을 하고 있다.[2] 무로마치시대에서 에도시대에 걸쳐서 조선의 칼국수가 일본으로 건너와서 우동으로 발전했다는 게 오카하라 회장의 주장이다. 대략 이 때 칼국수가 소개된 것은 맞는 것으로 보이며, 맷돌이 보급된 것도 대략 이 시기 전후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 앞뒤가 맞기는 하지만 확실한 증거는 없다. 물론 일본에서는 주류 대접은 못 받고 있는 주장이다.
이 일본식 우동이 한국으로 건너와서 가락국수로 정착했다. 우리나라의 중국집 우동은 일본 우동이 아니라 나가사키 짬뽕 쪽에 가깝다.
밀가루와 물, 소금만 가지고 반죽한 굵고 탄력있는 면발이 특징이다.[3] 간사이와 시코쿠, 그리고 큐슈에 걸치는 서일본 지방을 중심으로 발달했다. 그 중 사누키 (지금의 카가와 현) 우동이 가장 유명한데 우동에 필요한 밀과 소금, 물이 모두 질이 좋았기 때문이라고. 카가와현을 우동현이라고 할 정도로 이 동네가 유명한데, 실제로 인구 당 우동 가게의 수나 1인당 우동 소비량에서 일본 내 압도적인 1위를 줄기차게 차지하고 있다. 심지어 카가와현 정부에서도 스스로 우동현이라는 이름을 열심히 홍보하고 있다. 오죽하면 현 지사가 우정국을 찾아가서 '우동현'으로 오는 우편물을 모두 카가와현으로 처리해 달라고 요청할 정도일까... 실제로 우동현으로 주소를 쓰면 카가와현으로 잘 간다고 하는 체험기들도 있다. 부산 해운대구에는 아예 우동이 있다! 오사카 쪽도 우동이 인기가 많은 편이고 라멘 쪽으로는 별로 명성이 높지 않다. 후쿠오카 역시 하카타라멘이 워낙 유명해서 그렇지, 우동 역시 잘 하며 역사도 깊다. 외래 문물이라면 이쪽이 더 빨리 들어오기 때문에 카가와현보다 후쿠오카현이 오히려 중국식 국수 문화가 먼저 들어왔다고 한다.[4]
국물 문화가 발달한 한국 사람들은 국물을 중시한다. 굵은 면발을 우동 국물, 즉 가쓰오부시 국물에 말아서 먹는 것이 우동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일본에서 우동이라고 하면 면의 종류에 관한 문제고 국물의 종류는 다양하다. 물론 우리가 잘 아는 가쓰오부시 국물에 말아내는 카케우동이 가장 기본인 건 맞지만 배리에이션이 정말 다양하다. 아예 국물 없이 간장 찍어먹는 가마아게 우동이나 진한 국물을 자작하게 부어서 비비듯이 먹는 붓카케 우동, 카레 우동도 인기가 많다. 우리나라에도 진출한 바 있는 일본 최대의 사누키 우동 체인점인 마루가메제면도 이름과 함께 간판에 써놓은 게 가마아게 우동. 한마디로 자기들 주력 메뉴는 그거란 소리다.
제품으로 팔리는 것들은 건면과 생면, 반생면과 냉동면이 있지만 건면은 거의 보기 어렵고 생면과 냉동면이 압도적이다. 보통 우동 정도 두께가 되는 것을 건면으로 만들기가 무척 어렵다. 진공포장한 생면은 미리 삶아서 포장한 것으로 상온 보관이 가능하지만 면발의 탄력이 떨어지고 툭툭 끊어지는 느낌이다. 삶지 않은 생면이나 반생면은 직접 삶아야 하며 조리시간이 10분을 넘는다. 대신 조리법만 잘 지키면 우동 식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다. 반생면의 보존기간이 더 길기 때문에 며칠 안에 바로 먹을 게 아니면 반생면을 사는 게 낫다. 냉동면은 보관이 좀 불편하긴 하지만 면발의 탄력이 꽤 좋고 쫄깃한 맛도 살아 있어서 기왕이면 냉동면 쪽이 좋다. 일본에서도 면을 직접 만들지 않는 우동집에서는 냉동면을 많이 쓴다. 생면이든 냉동면이든 미리 익힌 것이라 오래 끓일 필요 없이 뜨거운 물에 잠깐 삶아서 따뜻하게만 해 주면 된다.
자가제면으로 우동, 혹은 소바를 직접 뽑아내는 집이 아니라면 높은 확률로 같은 음식을 면만 우동과 소바 중에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일본에서는 우동과 소바의 호환성이 높아서 비슷한 스타일에 면만 우동이냐 소바냐, 이렇게 갈 수 있다.
우리나라는 많이 없어졌지만 지금도 일본의 기차역 플랫폼에는 우동집이 꽤 있는 편이고 몇몇 명물 우동도 있다.
전골 요리의 사리로도 많이 쓰이는 국수로 일본에서는 중화면(짬뽕면)과 함께 널리 쓰이는 사리이고 우리나라에서는 라면사리나 칼국수사리보다는 빈도가 좀 떨어지지만 그래도 꽤 쓰이는 사리 중 하나다.
전국구급 우동
일본 대부분 지역에서 인기가 있고, 지역별로 갖가지 우동이 나오기 때문에 그야말로 수없이 많다고 볼 수 있지만 공통으로 널리 먹는 것들을 중심으로 다룬다.
카케우동
가장 간단하고 기본형이라고 할 수 있는 우동. 우리가 아는 딱 그 우동 스타일이다. 따끈한 가쓰오부시 국물에 우동을 말아서 낸다. ‘카케‘라는 말도 밥이나 국수 같은 것을 국물에 ‘말다‘ 혹은 ‘빠뜨리다‘는 뜻인 카케루(掛ける)에서 온 것이다. 아예 건더기가 없거나 잘게 썬 파, 텐카스[5] 같은 고명이 들어간다.
츠키미우동
익히지 않은 달걀 노른자를 고명으로 올린 우동. 노른자의 노랗고 동그란 모양이 달을 닮았다고 해서 달맞이를 뜻하는 '츠키미(月見)'라는 이름을 쓴다.
키츠네우동
달달한 장국에 담근 큼직한 유부를 올리는 우동. '키츠네(きつね)'란 여우를 뜻하는데, 여우가 유부를 좋아한다는 속설에서 나온 이름이다. 일본에는 컵라면 버전으로도 흔히 볼 수 있다. 언제 만들어진 것인지는 에도시대부터 메이지시대까지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일단 오사카에서 처음 등장했다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타누키우동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고명으로 텐푸라의 부산물인 텐카스(天かす)를 넉넉히 얹은 우동을 뜻한다. '타누키(たぬき, 狸)'는 너구리를 뜻하는 말인데, 그래서 여우를 뜻하는 '키츠네'우동과 엮어서도 생각하지만 실제 어원은 너구리와는 관계가 없다. 어원 관련 설은 몇 가지가 있지만 대체로 고명으로 얹는 아게다마(揚げ玉) 혹은 텐카스에서 온 말인 것은 분명해 보인다. 다만 타누키=너구리가 워낙 친숙한 단어다 보니, 그냥 狸うどん이라고 쓰기도 한다.
텐푸라우동
우동에 텐푸라를 얹은 것.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역시 가장 인기가 높은 그리고 비싼 건 새우 텐푸라. 한때 우리나라에도 들어왔던 마루가메제면처럼 우동과 함께 여러 가지 텐푸라를 알아서 선택할 수 있는 스타일의 우동집도 많다. 사누키우동의 본진인 카가와현에 이런 방식으로 영업하는 가게들이 많다.
니쿠우동
우동 위에 볶은 고기를 올리는 우동. 소고기를 많이 쓰지만 돼지고기를 쓰는 집들도 있다. 이 경우는 부타니쿠우동이라고 따로 부르기도 한다. 규동과 비슷하게 달달한 양념으로 볶아낸 고기를 올리기 때문 규동의 우동판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는 그닥 친숙하지 않지만 일본에서는 아주 인기 있는 우동 중 하나라서 우동 전문점에는 거의 메뉴에 들어 있다. 고기가 들어 있기 때문에 이것만 먹어도 한끼로 꽤 든든하다.
자루우동
우동을 찬물에 식혀서 진한 가쓰오부시 국물을 따로 내는 우동. 우리가 아주 잘 아는 소바 형태인 자루소바의 우동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카마아게우동
삶은 우동을 뜨거운 물에 담근 채로 내는 우동. 자루우동처럼 가쓰오부시 국물에 찍어먹는 스타일로, 자루우동은 면을 차갑게 식히는 것과는 달리 면과 국물 모두 따뜻하다.
카레우동
말 그대로 카레 국물에 말아낸 우동. 카레 요리가 발달한 일본답게 웬만한 우동집에는 거의 필수 수준으로 카레우동이 있다. 여기에 고기를 넣은 카레니쿠우동도 인기가 많다. 원래 카레라이스에 고기 건더기가 들어가니 익숙할 수밖에 없다. 카레라이스와는 만드는 방법이 약간 달라서 조금 덜 걸쭉하게 만들고 카레 육수로 가쓰오부시 베이스를 사용하는 집이 많다.
지역 명물 우동
고보텐우동
우동에 우엉 튀김인 고보텐을 얹은 것. 그냥 텐푸라우동의 일종이지만 후쿠오카 일대에서 유난히 인기가 많아서 후쿠오카음식으로 통한다. 특히 후쿠오카 출신 유명 게닌인 타모리가 좋아해서 방송에서도 여러 번 추천한 적이 있어서 인지도가 많이 올라갔다. 보통은 조금 굵은 정도로 채썬 우엉에 튀김옷을 묻혀서 튀기는 식이지만 가게에 따라서 스타일이 다양해서, 아예 우동 그릇 위에 걸칠 수 있을 정도로 긴 고보텐을 내는 곳도 있다. 여기에 다른 고명을 얹은 고보텐니쿠우동 같은 변형들도 여럿 존재한다.
돈코츠우동
후쿠오카현의 명물인 돈코츠라멘에서 라멘을 우동으로 바꾼 버전으로 보면 된다. 그런데 막상 음식점에서 보기는 힘들고, 간편식이나 인스턴트로 나와 있는 것들은 좀 있고, 우동 체인점인 마루가메제면에서도 팔고 있다. 마루가메제면이 한국에서 영업할 당시에 우리나라에서도 맛볼 수 있었다.
마루텐우동
마루텐(丸天)은 이름으로 해석해 보면 동그란 텐푸라라는 뜻이다. 이름처럼 큼직하고 동그란 튀김 어묵을 위에 얹어주는 우동으로 후쿠오카의 명물이다. 얼핏 보면 큼직한 유부를 얹어주는 키츠네우동처럼 보일 수도 있다. 몇몇 가게는 아예 그릇 크기만하게 위를 뒤덮는 크고 아름다운 어묵을 얹어주기도 한다. 참고로 일본 전체로 보면 텐푸라는 튀겨 만든 어묵이 아니라 새우와 같은 각종 재료에 튀김옷을 입혀 튀겨낸 것을 두루 뜻하지만 후쿠오카 일대에서는 일본식 튀김과 튀겨 만든 어묵을 모두 텐푸라라고 부르는데, 우리나라에서 예전에 어묵을 덴뿌라라고 부른 것도 여기서 기인했을 가능성이 있다.
미미우동
耳うどん. 즉 '귀'우동이다. 실제로 밀가루 반죽을 귀를 닮은 모양으로 만들어서 만드는 우동이다. 우리가 보기에는 우동보다는 수제비에 가깝다고 할 수 있는 음식. 토치기현 사노시의 명물 음식이다. 귀 모양 우동은 악한 신의 귀를 상징하며, 악신의 귀를 먹음으로써 집안의 이야기를 나쁜 신이 듣지 못하게 한다는 의미가 있다.
미소니코미우동
나고야메시의 하나로 나고야의 명물인 아카미소를 사용해서 진하고 겁나 짠 국물에 우동과 여러 가지 재료를 냄비에 넣고 푹 끓인 것. 담백한 가쓰오부시 국물과는 아득히 먼, 굉장히 진한 일본 된장 맛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미소니코미우동 항목 참조.
붓카케우동
우동에 진한 국물을 '뿌려서' 먹는 요리. 오카야마현과 카가와현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오카야마현의 쿠라시키시에서 고장을 대표하는 요리 중 하나로 적극 밀고 있다. 아예 쿠라시키우동(倉敷うどん)이라는 이름으로 열심히 홍보하고 있다. 오카야마 일대는 물론 일본 전역의 우동집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우동에 갈은 무를 넣고 자작하게 국물을 뿌린다. 위에는 메추리알 노른자를 올리는데, 먹기 전에 노른자를 터뜨리고 국물과 면을 잘 섞어준다. 쿠라시키우동은 냉우동과 온우동을 선택할 수 있고, 국물을 미리 부어서 내며, 생강을 넉넉하게 넣기 때문에 생강향이 강하게 나는 편이다.[6]
다른 지역으로 가면 스타일이 조금 달라지는데, 온우동은 보기 힘들고 대체로 냉우동이다. 국물을 따로 줘서 손님이 직접 뿌려 먹게 하는 가게도 많다. 이럴 때에는 비비지 않고 국물을 뿌린 후 그대로 먹는다.
우리에게는 이름 때문에 쓸데 없이 야릇한 느낌을 준다.
사라우동
皿うどん. 여기서 '사라'는 접시를 뜻한다. 높이가 낮은 그릇에 담겨 나오기 때문. 나가사키 짬뽕과 함께 나가사키의 지역 요리로 잘 알려져 있다. 면을 튀긴 다음 건더기와 함께 볶아낸 걸쭉한 국물을 부어서 먹는 요리. 사실 '우동'의 원래 뜻과는 다른 요리인데, 사용하는 국수가 우동이 아니라 중국식 볶음면인 차오몐에 쓰이는 두툼한 중화면혹은 이보다도 좀 더 가는 면을 사용한다. 그래서 과연 우동으로 분류해도 되는 건지도 애매한 중화요리다. 더 자세한 내용은 사라우동 항목 참조.
이세우동
이름처럼 이세를 중심으로 미에현 쪽에서 많이 먹는 우동. 우동 국수가 보통 우동보다도 더 굵으며 국물이 자작하고 진하다. 겉모습만 보면 꼭 짜장면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쪽 동네가 아카미소를 많이 먹는데, 이 과정에서 만들어내는 진한 타마린간장이 가쓰오부시와 함께 국물의 베이스가 된다.
카시와우동
かしわうどん.
'카시와'라는 것은 닭고기를 뜻하는데, 하카타 일대 북큐슈 쪽에서는 닭고기를 잘게 찢어 놓은 것을 쓰이는 말이다. 잘게 썰거나 찢어서 조린 닭고기를 고명으로 얹어 주는 우동으로, 일종의 니쿠우동이라고 할 수 있다. 먹어 보면 닭고기라기보다는 꼭 참치 통조림과 식감이 비슷한데, 닭가슴살을 쓰기 때문으로 보인다. 큐슈 북부의 몇몇 기차역 플랫폼에서 파는 카시와우동이 명물로 통한다. 자세한 내용은 카시와우동 항목 참조.
카스우동
오사카를 중심으로 한 킨키지방 쪽에서 주로 먹다가 점점 다른 지역으로도 알려지고 있는 우동이다. '카스'는 아부라카스(油かす), 즉 소의 내장, 특히 작은 창자 부위를 잘게 썬 다음 낮은 온도의 기름에서 시간을 두고 천천히 튀겨내어 여분의 기름을 뺀 다음 말린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카스우동 항목 참조.
한국에서
우리나라에도 우동이 들어와 있지만 한국인의 입맛과 재료, 주머니 사정에 따라 변형되어 일본과는 상당히 다른 국수 요리가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가락국수 항목 참조.
하지만 일본 '정통' 우동 전문점을 표방하는 음식점들이 수십년 전부터 있었다. 80년대 초반에는 압구정동의 이른바 오렌지족 붐을 타고 일본에서 기코망 간장이나 주요 식자재를 공수해서 만드는 일본 우동 전문점들이 강남에 몇 곳 생겼는데, 그 중 <사가에>라는 우동 전문점은 부유층들의 사치스러운 소비 문화를 상징하는 곳으로 언론에 보도되는 바람에 호된 비난을 받았고, 일본에서 불법으로 재료를 가져온, 즉 밀수를 이유로 대표가 구속되기까지 하면서[7][8] 문을 닫고 말았다. 1985년 당시 우동이 한 그릇에 3천원, 특우동 6천원, 우동스키가 1만2천원이었으니 당시 서울의 짜장면 한 그릇 평균 가격이 616원이었던 물가를 생각하면 비싸긴 비쌌다.
한국의 일본식 우동은 사실 일본과는 맛이 확실히 달랐다. 우리나라의 우동 국물은 간장과 설탕을 많이 넣어서 국물 색깔이 짙고 단맛이 나는 편이다. 반면 일본의 가쓰오부시 우동 국물은 색깔이 옅고 단맛이 별로 없다. 간토지방 쪽은 간장을 주로 써서 색깔이 짙은 편인데 그래도 우리나라보다는 옅은 편이다. 간사이 쪽은 간장을 아예 혹은 거의 안 쓰고 소금으로 간을 하기 때문에 정말 멀건 느낌이다. 간도 우리나라보다는 짠 편. 간장향은 옅은 대신 가쓰오부시 특유의 훈제향이 퍼져 나온다. 그래서 한국에서 우동 먹던 사람들이 일본에 가서 우동을 먹거나 진짜 일본인이 하는 제대로 된 일본 스타일 우동을 먹으면 이게 뭐냐 싶어서 뜨악해 했다.
이제는 일본인이 운영하는 우동집도 이곳 저곳에 생겼고, 일본에서 제대로 배우고 온 사람들이 하는 우동집도 있고 해서 한국 사람들도 일본 스타일에 많이 익숙해져 있다. 우동은 당연히 가쓰오부시 국물이라고 생각했던 통념도 카레우동, 가마아게우동, 붓카케우동 같은 다양한 스타일이 소개되면서 조금씩 약해져 가는 중. 심지어는 일본 최대의 사누키 우동 체인인 마루가메제면이 한국에 진출했다. 매장에서 직접 면을 만드는 '자가제면'을 내세우면서 점포 수를 꽤 늘렸다.[9] 그러나 일본불매운동의 여파에 코로나-19 대유행 사태까지 겹쳐서인지 2021년 8월 15일에 한국 시장에서 철수했다.[10] 날짜가 참으로 절묘하다. 마루가메제면의 일부 지점들은 상호를 바꾸고 독자 영업에 나섰다.
한편 전골 요리의 사리로는 많이 쓰이고 있다. 라면사리가 가장 인기가 높긴 하지만 라면이 안 맞는 전골 요리도 있기 때문에 이런 곳에서는 칼국수나 우동사리를 많이 사용한다. 생면 상태일 때 넣으면 밀가루 때문에 국물이 뿌옇게 되어 버리므로 한 번 삶아서 넣어야 한다.
한국의 중화요리
한국의 중화요리 가운데 하나. 일본의 우동보다는 오히려 나가사키 짬뽕에서 왔다고 보는 게 맞다. 돼지뼈나 닭뼈 국물로 육수를 내고 여기에 고기와 채소, 해산물을 넣어 끓여낸다. 달걀을 풀어 익혀서 내는 가게도 많다. 나가사키 짬뽕이 한국으로 건너와 매운 것 좋아하는 한국인들 취향에 맞춰서 빨간 국물로 발전시킨 짬뽕이 탄생하고, 하얀 국물의 백짬뽕은 우동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여기에 물녹말을 넣어서 국물을 좀더 걸쭉하게 만들면 울면이 된다. 백짬뽕과 우동을 별로 구분을 안 하는 분위기지만, 조리법을 엄밀하게 구분하는 경우도 있으며, 짬뽕은 재료를 웍에 볶아 가면서 육수를 조금씩 부어가는 식으로 조리해서 불맛을 강조한다면 우동은 재료를 육수에 넣고 푹 끓여서 국물의 깊은 맛을 강조하는 차이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 중국집에서는 별로 구분을 안 하며 백짬뽕 식으로 만들면서 우동으로 내놓는 곳도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 싸구려 중국집들은 재료를 잔뜩 볶고 육수를 부어 큰 통에 끓이면서 주문이 오면 바로바로 국물을 부어서 내는 식이라서 더 그렇다.
예전에는 중국집에 짬뽕이 있으면 라이벌격으로 당연히 우동이 있었지만 요즘은 우동이나 울면을 메뉴에 올린 중국집이 많이 줄었다. 사실 1970년대만 해도 짜장면의 라이벌은 짬뽕이 아닌 우동이었다. 그 당시는 짜장면과 우동은 가격이 같았지만 짬뽕은 그보다 비쌌기 때문에 한 푼이 아쉬웠던 시절에 우동이 더 인기가 좋았던 건 어찌 보면 당연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짬뽕의 인기가 올라가는 반면 우동은 가라앉았다. 짬뽕이야 재료가 좀 시들시들해도 매운 맛으로 어느 정도 잡맛을 억누를 수 있지만 우동은 그런 수법이 통할 수 없다 보니 재료나 맛내기나 좀더 신경을 써야 하는데, 매운 맛 좋아하는 한국사람 특성 때문에 점점 짬뽕에 밀리다 보니 굳이 메뉴에 놔둘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 듯하다. 또한 경제가 발전하고 사람들의 주머니가 두툼해지면서 우동과 짬뽕 가격의 차이도 그리 걸림돌이 안 되었고, 당연히 중국집 입장에서는 돈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는 짬뽕을 선호하게 마련이다. 게다가 일본음식들이 조금씩 다양화 되어가고, 특히 삼양식품에서 한때 히트를 쳤던 라면 덕분에 나가사키 짬뽕의 인지도도 많이 올라간지라, 중국집 우동은 이래저래 모호한 처지가 되었다.
그래도 우동을 자랑스럽게 메뉴에 올린 중국집이 있다면 한 번쯤 먹어보자. 먹었을 때 재료가 신선하지 않다는 느낌이 든다면 그 집 짬뽕도 마찬가지다. 요즈음 중국집 우동 가격은 짬뽕에 맞춰져 있다.
각주
- ↑ 후쿠오카를 대표하는 국수 요리라면 보통 하카타라멘을 떠올리지만 후쿠오카 현지인들 중에는 '후쿠오카는 라멘보다 우동이야'라고 생각하는 이들도 많고, 우동 가게도 많이 볼 수 있다.
- ↑ "日 최대 제면기업체 대표 "한국 칼국수, 우동의 원조"", KBS, 2020년 4월 24일.
- ↑ 단, 이건 사누키 쪽 중심이고 큐슈 쪽은 쫄깃한 탄력은 적은 대신 아주 부드러운 맛을 특징으로 한다.
- ↑ 그럴 수밖에 없는 게 중국에서 가장 가까운 곳이 큐슈이고, 후쿠오카는 일찌기 당나라와 무역을 많이 했다. 후쿠오카현 서쪽에 있는 카라츠시는 도시 이름이 아예 唐津, 즉 당나라와 무역했던 나루터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 ↑ 자잘한 알갱이같은 밀가루 튀김.
- ↑ 카마아게우동도 장국에 갈은 생강을 취향껏 넣어서 찍어 먹는다.
- ↑ "「만원짜리 日本우동」拘束", 조선일보, 1985년 4월 2일.
- ↑ <사가에>는 한국인 아내와 재일교포 남편 부부가 운영하던 곳으로, 남편이 주로 휴대품으로 밀반입을 했다고 한다. 휴대품으로 재료를 사가지고 오는 것 자체는 육류 같은 반입 금지품목이 아닌 한은 밀수가 아니지만 정식 수입신고를 하지 않은 수입 식재료로 음식을 만들어 파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불법이다. 식품 안전과도 관계가 있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 ↑ 우리나라에 진출한 일본 음식점 체인은 여럿 있지만 일식의 인기와는 별개로 의의로 많이 사업에 실패하고 철수했다. 가격 문제라든가 한국인 입맛과는 다른 낯선 느낌과 같은 것들을 실패 원인으로 볼 수 있다.
- ↑ "광복절에 한국서 사업 접은 日 우동 체인점... 누리꾼들 "아이러니"", 한국일보, 2021년 8월 27일.